오늘 가져온 논문은 마이크로바이옴이 항암치료에 영향을주고 있는데 그 중에서 어떤 장내미생물이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서 한발 다가선 내용되겠습니다.
제목은 Microbiota-driven antitumour immunity mediated by dendritic cell migration으로 일본 암환자 50명의 대변 샘플을 분석해서 PD-1 차단제에 반응한 사람과 반응하지 않은 사람과 비교해 보았습니다.
DOI: 10.1038/s41586-025-09249-8
clova-x나 grok의 경우 pdf 파일이 너무 커서 못하겠다고 문서 요약을 거절해서 오늘 요약글에서 clova-x와 grok는 빠져있습니다. 아... 유료를 사용하면 될 수도 있으니 오해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
chatGPT
다음은 업로드해 주신 **Nature 논문**의 내용을 생명과학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정리한 요약입니다. 블로그용으로 적합하도록 간결하고 흥미롭게 구성했습니다. (A4 두 장 이내 분량)
---
### 🦠 장내 세균이 암 면역치료 효과를 높인다고요?
**- 특정 유익균이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PD-1 항암제 효과를 극대화하다**
---
#### 🧬 연구 배경:
요즘은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유도하는 \*\*면역관문억제제(PD-1 차단제)\*\*가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은 아니며, 일부만 반응합니다.
최근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마이크로바이옴)\*\*이 이 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지만, 구체적인 작용 메커니즘은 잘 알려지지 않았습니다.
---
#### 🎯 연구 목적:
이 연구는 **어떤 장내 미생물이 면역치료 반응에 영향을 주는지**, 그리고 **그 세균이 어떻게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키는지를**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고자 했습니다.
---
#### 🧪 연구 방법:
* 일본 암 환자 50명의 **대변 샘플**을 분석하여 면역치료(PD-1 차단제)에 반응한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을 비교했습니다.
* 이 중 면역치료에 잘 반응한 환자의 장에서 \*\*새로운 유익균 ‘YB328’\*\*을 분리해냈습니다.
* 이 균주를 마우스 모델에 투여한 후, **항암제와의 시너지 효과**를 실험했습니다.
---
#### 🔍 주요 발견 및 결과:
1. **YB328**은 \*\*암 특이적 T세포(살상 면역세포)\*\*를 활성화시킵니다.
* 특히, ‘CD103+CD11b− 수지상세포’라는 면역세포를 통해 작동하며, 이 수지상세포는 **장→림프절→종양 부위**로 이동해 T세포를 활성화시킵니다.
2. YB328을 이식받은 마우스는 **PD-1 치료제 단독 투여보다 훨씬 강한 항암 효과**를 보였습니다.
* 이 균주는 **암세포에 대한 반응성을 가진 CD8+ T세포의 숫자와 다양성**을 증가시켰습니다.
3. 반대로, **P. vulgatus**라는 또 다른 장내균은 항암 반응을 방해했고, YB328의 효과도 억제했습니다.
---
#### 💡 고찰 및 시사점:
* 특정 장내 미생물은 **면역세포를 ‘훈련’시켜** 암을 더 효과적으로 공격하게 만듭니다.
* **YB328**은 그중에서도 핵심 역할을 하는 새로운 균주로, \*\*항암 면역 반응의 ‘조력자’\*\*로 작용합니다.
* 장내 환경은 치료 반응을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이며, **장내 미생물 조절을 통한 개인 맞춤형 암 치료**가 가능할 수도 있음을 시사합니다.
---
#### 🧭 왜 중요한가요?
이 연구는 단순히 "미생물이 도움이 된다"는 추상적 이야기가 아니라, **구체적인 세균(YB328), 작동 메커니즘(수지상세포 유도 및 T세포 활성화), 치료 반응성 향상**이라는 명확한 연결고리를 보여줍니다.
이는 향후 **마이크로바이옴 기반 보조 치료제** 개발이나, **면역항암제의 효과 예측 지표** 개발에 큰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
**🔬 한 줄 요약:**
> "우리 장 속의 유익균이 암 치료의 성패를 좌우할 수 있다 – YB328은 그 핵심 열쇠다."
---
gemini
## 우리 몸속의 숨겨진 아군: 특정 장내 미생물이 항암치료 효과를 높이는 원리
최근 의학계의 가장 큰 화두 중 하나는 '면역항암치료'입니다. 우리 몸의 면역체계를 일깨워 스스로 암세포와 싸우게 만드는 획기적인 치료법이죠. 하지만 이 치료법이 모든 환자에게 효과적인 것은 아니라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과학자들은 그 이유를 파고들었고, 뜻밖에도 우리 장(腸) 속에 사는 미생물들이 그 열쇠를 쥐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연구는 바로 그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면역항암치료의 효과를 높이는지, 그 구체적인 작동 원리를 파헤친 획기적인 논문입니다. 생명과학을 전공하지 않은 분들도 쉽게 이해하실 수 있도록 그 내용을 자세히 풀어보겠습니다.
### 연구 배경 및 목적: 왜 어떤 사람에게만 면역항암치료가 잘 들을까?
면역항암치료, 특히 'PD-1 억제제'라는 약물은 암세포가 면역세포를 속이는 것을 막아줍니다. 암세포는 '나를 공격하지 마'라는 신호(PD-L1)를 보내 면역세포(T세포)의 공격을 피하는데, PD-1 억제제는 이 신호를 차단해 T세포가 다시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만듭니다.
그런데 어떤 환자들은 이 약물에 반응이 좋고, 어떤 환자들은 그렇지 않았습니다. 이전 연구들에서 그 차이가 환자의 '장내 미생물' 구성과 관련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지만, 수많은 미생물 중 **정확히 어떤 미생물이, 어떤 방법으로** 면역력을 높이는지는 미스터리로 남아 있었습니다.
이번 연구팀의 목표는 바로 이 미스터리를 푸는 것이었습니다. 즉, **면역항암치료에 잘 반응하는 환자들의 장 속에서 항암 효과를 높이는 핵심 미생물을 찾아내고, 그 미생물이 우리 몸의 면역 시스템을 어떻게 조종하는지 그 비밀을 밝혀내는 것**이었습니다.
### 연구 방법 및 결과: '슈퍼 미생물 YB328'의 발견과 그 놀라운 능력
연구팀은 폐암 및 위암 환자들의 분변을 채취하여 면역항암치료에 반응이 좋은 '반응군'과 그렇지 않은 '비반응군'의 장내 미생물 구성을 비교 분석했습니다.
#### 1. 핵심 미생물 'YB328'의 발견
[cite_start]분석 결과, 반응군 환자들의 장 속에는 특정 미생물군(루미노코카세과, Ruminococcaceae)이 유독 많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cite: 2511, 2512]. [cite_start]더 나아가, 연구팀은 이 미생물군에 속하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미생물 균주를 분리해내는 데 성공했고, 여기에 'YB328'이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cite: 2530, 2531]. [cite_start]실제로 환자 데이터를 분석해보니, 장 속에 YB328이 많은 환자일수록 암이 악화되지 않고 생존하는 기간(무진행생존기간, PFS)이 훨씬 길었습니다[cite: 2537].
#### 2. YB328은 어떻게 암과 싸우는 군대를 훈련시킬까?
YB328이 직접 암세포를 죽이는 것은 아닙니다. 대신 우리 몸의 면역 군대를 아주 영리하게 훈련시키고 지휘하는 역할을 합니다. 그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 **1단계: 엘리트 지휘관(수지상세포)을 훈련시키다**
우리 면역 시스템에는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 DC)'라는 지휘관이 있습니다. [cite_start]이 지휘관은 암세포 같은 적의 정보를 파악(항원 포착)한 뒤, 최전방 공격 부대인 'T세포'에게 "이런 놈을 공격해!"라고 명령을 내리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cite: 2467, 2473].
[cite_start]YB328은 장(腸) 속에서 특정 종류의 엘리트 수지상세포($CD103^+CD11b^-$ cDC)를 집중적으로 훈련시킵니다[cite: 2467, 3061]. [cite_start]이 훈련을 통해 수지상세포는 더욱 성숙하고 강력해지며, 암세포의 정보를 T세포에게 더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됩니다[cite: 3030].
* **2단계: 훈련된 지휘관을 암 조직으로 파견하다**
YB328에 의해 잘 훈련된 수지상세포는 장에만 머무르지 않습니다. [cite_start]연구팀은 특수 추적 기술을 이용해, 이 세포들이 **장을 떠나 혈액을 타고 멀리 떨어진 암 조직까지 이동하는 것을 최초로 확인했습니다**[cite: 2467, 3485]. 즉, YB328은 지휘관을 훈련시킬 뿐만 아니라, 실제 전투가 벌어지는 최전선으로 파견하는 역할까지 하는 것입니다.
* **3단계: 최전선에서 공격 부대(T세포)를 총동원하다**
암 조직에 도착한 엘리트 수지상세포는 그곳에서 T세포들을 만납니다. [cite_start]YB328에게 훈련받은 수지상세포는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능력이 매우 뛰어나, 약한 암 항원(공격 대상 정보)에 반응하는 T세포까지도 전투에 참여시킵니다[cite: 3056, 4174]. [cite_start]그 결과, **다양한 종류의 T세포들이 총동원되어 더 강력하고 광범위하게 암세포를 공격하게 됩니다**[cite: 3034].
#### 3. 동물실험으로 효과를 입증하다
연구팀은 이 놀라운 발견을 동물실험으로 증명했습니다. [cite_start]암에 걸린 쥐에게 YB328을 투여하자, 면역항암제(anti-PD-1)의 치료 효과가 극적으로 향상되었습니다[cite: 2770, 3008]. [cite_start]더욱 놀라운 점은, 치료 효과가 없던 '비반응군' 환자의 장내 미생물을 이식받은 쥐에게 YB328을 추가로 투여했더니, 치료 반응이 다시 살아났다는 것입니다[cite: 3033]. [cite_start]이는 **YB328이 기존의 장내 환경에 상관없이 강력한 항암 면역 반응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결과**입니다[cite: 2469].
### 고찰 및 의의: 이 연구가 왜 중요할까?
이 연구는 단순히 '장내 미생물이 중요하다'는 기존의 관찰을 넘어, **'YB328'이라는 특정 미생물이 어떤 과정을 거쳐 항암치료 효과를 높이는지 그 구체적인 메커니즘을 명확하게 밝혔다는 데 큰 의의가 있습니다.**
1. **원인과 결과를 명확히 연결:** 이전까지는 장내 미생물과 항암치료 효과 사이의 '상관관계'만 알려졌다면, 이 연구는 YB328이라는 '원인'이 수지상세포의 훈련과 이동, 그리고 T세포 활성화라는 '결과'로 이어지는 과정을 과학적으로 증명했습니다.
2. **새로운 치료 전략 제시:** 지금까지는 장내 미생물을 이용한 치료법으로 다른 사람의 분변을 이식하는 '분변이식술'이 거론되었지만, 이는 과정이 복잡하고 예측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 연구를 통해 YB328이라는 핵심 미생물이 밝혀졌으므로, **앞으로는 YB328을 이용한 '프로바이오틱스' 형태의 치료제를 개발할 수 있는 가능성이 열렸습니다.** 즉, 면역항암치료를 받는 환자에게 YB328을 알약처럼 함께 복용하게 하여 치료 효과를 높이는, 보다 안전하고 표준화된 치료법을 기대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3. **'맞춤형 항암치료'의 새로운 지평:** 환자의 장 속에 YB328이 얼마나 있는지를 검사하여 면역항암치료의 효과를 예측하는 진단 도구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나아가 YB328이 부족한 환자에게는 이를 보충해 줌으로써 더 많은 환자들이 면역항암치료의 혜택을 볼 수 있도록 하는 '맞춤형 미생물 치료' 시대를 여는 중요한 발판이 될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우리 몸속 작은 미생물 하나가 암과의 전쟁에서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놀라운 발견입니다. 이는 미래 항암치료가 나아가야 할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며, 암으로 고통받는 많은 환자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주고 있습니다.
NotebookLM
다음은 업로드하신 논문의 내용을 생명과학 비전공 일반 성인 독자를 대상으로 이해하기 쉽게 요약한 것입니다.
***
### 장내 미생물이 암 면역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 새로운 비밀을 밝히다: YB328 균주의 역할
**연구 배경**
암 치료 분야에서 혁신적인 진전을 가져온 치료법 중 하나는 바로 **면역 관문 억제제 (Immune Checkpoint Blockade, ICB) 요법**입니다. 이 치료법은 암세포가 우리 몸의 면역 세포를 회피하지 못하도록 막아, 면역 세포가 암세포를 공격하도록 돕습니다. 특히, PD-1 (Programmed Cell Death 1)이라는 단백질을 억제하는 치료법이 많은 암종에서 환자들의 생존율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하지만 모든 환자가 이 치료에 반응하는 것은 아니며, 완전 관해율(암이 완전히 사라지는 비율)은 여전히 낮은 편입니다. 따라서 누가 치료에 잘 반응할지 예측할 수 있는 방법과 치료 저항성을 극복할 새로운 접근법이 절실히 필요합니다.
최근 연구들은 **장내 미생물**이 면역 관문 억제 치료의 효과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어떤 특정 박테리아(예: *Ruminococcus* 종, *Prevotellaceae* 종)의 존재 여부가 치료 효과와 연관이 있다는 보고도 있었습니다. 기존에는 장내 미생물이 면역 반응을 촉진하는 다양한 메커니즘이 제안되었지만, 특히 장내 미생물이 특정 면역 세포인 수지상세포(dendritic cells, DCs)의 성숙을 유도하여, 이 수지상세포들이 암이 있는 부위(종양 미세환경, TME)에서 CD8+ T세포라는 핵심적인 항암 면역 세포를 활성화하는 상세한 과정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연구 목적**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PD-1 억제제 치료에 반응한 환자들의 대변에서 새로운 박테리아 균주를 분리하고, 이 균주가 어떻게 항암 면역 반응을 강화하고 면역 치료의 효과를 높이는지 그 **상세한 메커니즘을 규명**하는 것이었습니다. 이를 통해 치료 반응 예측을 위한 새로운 바이오마커를 발굴하고, 더 나은 암 면역 치료 전략을 개발하는 데 기여하고자 했습니다.
**연구 방법**
연구팀은 PD-1 억제제 치료를 받은 50명의 일본 암 환자(비소세포폐암 및 위암 환자)로부터 대변 샘플을 수집하여 치료에 반응한 환자 그룹과 비반응한 환자 그룹으로 분류했습니다.
1. **미생물 다양성 및 특정 균주 분석**: 16S rRNA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을 통해 장내 미생물 다양성과 특정 박테리아의 풍부도를 조사했습니다. 특히 YB328이라는 새로운 균주를 분리하여 유전체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 균주가 환자 대변에서 얼마나 풍부한지 정량화했습니다.
2. **생쥐 모델 실험**: 무균 생쥐(Germ-free mice)와 항생제 처리 생쥐(ATB-SPF mice)에게 반응자 또는 비반응자 환자의 대변 미생물을 이식하거나, 분리된 YB328 균주를 단독 또는 다른 균주(*P. vulgatus*, 비반응자에게서 많이 발견된 균주)와 함께 투여한 후, 항-PD-1 항체 치료와 병행하여 암 성장 억제 효과를 관찰했습니다.
3. **면역 세포 분석 및 메커니즘 규명**: 종양 미세환경 및 림프절에서 다양한 면역 세포(특히 CD8+ T세포와 수지상세포)의 변화를 분석했습니다. 특히 YB328이 특정 수지상세포(CD103+CD11b− cDCs)의 성숙, 기능 및 종양으로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세포 수준과 생쥐 모델에서 상세히 연구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특정 수용체(톨 유사 수용체, TLRs) 및 신호 전달 경로(MYD88, S6K, STAT3)의 역할을 규명했습니다.
4. **인간 샘플에서의 검증**: 실제 암 환자들의 종양 조직 내 면역 세포 침윤과 YB328 균주 풍부도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생쥐 모델에서 얻은 결과를 인간에게서도 확인했습니다.
**연구 결과**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발견들이 이루어졌습니다.
* **장내 미생물 다양성 및 특정 균주와 치료 반응의 연관성**: PD-1 억제제 치료에 반응한 환자들이 비반응 환자들보다 장내 미생물 다양성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특히, **YB328이라는 새로운 박테리아 균주**가 반응자 환자의 대변에서 유의하게 더 풍부하게 검출되었습니다. YB328이 풍부한 환자들은 무진행 생존율(PFS)이 더 길었습니다. 반대로, 비반응 환자들에게서 더 풍부하게 발견된 *Phocaeicola vulgatus* (AE61 균주)는 더 짧은 PFS와 연관이 있었습니다.
* **YB328의 항암 효과 증대**: YB328 단독으로는 암 성장을 억제하지 못했지만, 항-PD-1 치료와 함께 투여했을 때 생쥐 모델에서 **강력한 항암 효과를 유도**했습니다. 이는 *P. vulgatus*와 함께 투여했을 때의 효과보다 훨씬 뛰어났습니다. 심지어 비반응자 환자의 대변 미생물 환경(NR-FMT)에서도 YB328을 보충하면 항-PD-1 치료에 대한 민감도가 증가했습니다.
* **수지상세포 활성화 및 이동 메커니즘**: YB328은 장에서 특정 종류의 수지상세포인 **CD103+CD11b− cDCs의 분화를 촉진하고 성숙을 가속화**시켰습니다. 이 수지상세포들은 PD-1 억제 치료 시 종양으로 침윤하는 성숙한 수지상세포의 특징을 보였으며, 이는 T세포 활성화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YB328에 의해 활성화된 수지상세포는 CXCL9, CXCL10, CCL5와 같은 화학물질을 생성하여 CD8+ T세포를 더 잘 유인하고, 이들과 더 오래 접촉하여 T세포 활성화를 강화했습니다. 특히, YB328은 CD8+ T세포가 다양한 종류의 암 항원을 인식하고 이에 반응하는 능력을 향상시켰습니다.
* **톨 유사 수용체(TLRs)와 MYD88 신호 전달 경로의 중요성**: YB328은 수지상세포에서 TLR5, TLR7, TLR9 등 **다양한 톨 유사 수용체의 발현을 상향 조절**했습니다. 이 수용체들의 신호 전달을 매개하는 MYD88 단백질이 없으면 YB328의 항암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이는 YB328이 특정 면역 수용체를 통해 수지상세포를 활성화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 **YB328의 독특한 면역 조절 기능**: YB328은 유사한 분류군의 다른 박테리아와 비교했을 때 CD8+ T세포의 PD-1 발현을 가장 유의하게 유도했으며, 이는 YB328의 면역 조절 기능이 매우 특이적임을 보여줍니다.
* **인간 환자에서의 검증**: YB328의 풍부도는 PD-1+CD8+ T세포와 IRF8+CLEC9A+ 수지상세포(생쥐의 CD103+CD11b− cDCs에 해당)의 종양 내 침윤과 유의미하게 연관되어 있었습니다. 이는 YB328이 인간에서도 유사한 면역 조절 기능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고찰**
이 연구는 복잡한 장내 미생물 환경 속에서 특정 미생물 균주인 YB328이 어떻게 면역 관문 억제 치료의 효과를 극대화하는지 **상세한 메커니즘을 밝혀냈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기존 연구들이 장내 미생물과 면역 치료 효과 간의 연관성을 제시했지만, 그 메커니즘은 불분명했습니다. 이 논문은 YB328이 특정 수지상세포(CD103+CD11b− cDCs)의 분화와 활성화를 촉진하고, 이 세포들이 장으로부터 종양으로 이동하여 암 항원 특이적 CD8+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두 단계 활성화 시스템"**을 제안합니다. 또한 YB328이 수지상세포를 다른 장내 미생물 유래의 면역 자극 물질(TLR 리간드)에 더욱 민감하게 만든다는 것도 밝혀냈습니다.
이는 단일 균주가 복잡한 면역 반응을 조절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상업적으로 쉽게 구할 수 있는 균주에 의존했던 이전 연구들의 한계를 극복했습니다. YB328은 전체 장내 미생물 중 차지하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작지만 (0.01%~1%), 그 효과는 매우 강력하여 소량의 보충만으로도 충분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의의와 시사점**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의와 시사점을 가집니다.
* **새로운 치료 전략의 가능성**: YB328은 면역 관문 억제 치료의 반응률을 높이고 저항성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장내 미생물 기반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을 제시합니다. 특히, 비반응 환자들에게 YB328을 보충하는 방식으로 치료 효과를 개선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치료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 개발**: 환자의 대변에서 YB328의 풍부도를 측정하는 것이 PD-1 억제 치료에 대한 **반응을 예측하는 유용한 바이오마커**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는 개인 맞춤형 암 치료의 길을 열 수 있습니다.
* **항암 면역 메커니즘의 이해 증진**: 장내 미생물이 어떻게 멀리 떨어진 종양 미세환경에서 면역 반응을 조절하는지에 대한 **상세한 분자적, 세포적 메커니즘을 명확히 규명**했습니다. 이는 수지상세포와 CD8+ T세포의 항암 작용에 대한 우리의 이해를 심화시킵니다.
* **다양한 암종으로의 적용 가능성**: YB328은 다양한 생쥐 암 모델뿐만 아니라, 위암, 비소세포폐암, 두경부 편평상피세포암, 악성 흑색종, 신장 세포암, 식도암 등 **다양한 인간 암종에서 PD-1 억제 치료 반응과 관련성**을 보였습니다. 이는 YB328의 치료 잠재력이 광범위할 수 있음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가 왜 중요한가?**
이 연구는 단순히 특정 박테리아가 면역 치료 효과를 높인다는 것을 넘어서, **그 작용 메커니즘을 매우 구체적으로 밝혀냈기 때문에 중요**합니다. 복잡한 미생물 생태계에서 특정 균주가 어떻게 우리 몸의 면역 체계를 "훈련"시켜 암과 싸우게 하는지 그 원리를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이제 막연한 미생물 투여가 아닌,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정밀한 미생물 치료 전략**을 설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현재 암 면역 치료의 한계를 극복하고, 더 많은 환자들이 효과를 볼 수 있도록 돕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나아가, 환자의 장내 미생물 상태를 기반으로 최적의 치료법을 선택하고 개발하는 **미생물 기반 정밀의학 시대**를 여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입니다.
![]() |
출처: @ye._.vely6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