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BRCA1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BRCA1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금요일, 9월 12, 2025

BRCA1, BRCA의 변이 분류에 대해서

간만에 interpretation에 대한 내용 가져와봤습니다. 아닌가.. 제목은 Evidence-based recommendations for gene-specific ACMG/AMP variant classification from the ClinGen ENIGMA BRCA1 and BRCA2 Variant Curation Expert Panel 으로 BRCA1/2 유전자 변이를 증거기반의 ACMG/AMP 분류 기준으로 변이를 정확하게 해석해서 환자의 진단이나 관리의 정확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기 위한 내용으로 이런 방법이 진짜 좋은거 같아요 라고 얘기하는 논문되겠습니다.

DOI: 10.1016/j.ajhg.2024.07.013


clova-x

이 연구는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변이를 평가하기 위한 증거 기반의 프로토콜을 개발하여 임상적 관련성과 유전적 진단의 명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입니다.

1. **연구 배경**

   - BRCA1과 BRCA2는 유방암 및 난소암의 유전적 위험과 관련이 있습니다.

   - ENIGMA 컨소시엄은 이러한 유전자의 변이의 임상적 의미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합니다.

2. **연구 방법론**

   - ClinGen ENIGMA BRCA1 및 BRCA2Variant Curation Expert Panel은 ACMG/AMP 분류 기준을 검토하고 수정하였습니다.

   - 통계적 방법을 사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유형의 증거 강도를 조정하였습니다.

3. **연구 결과**

   - 파일럿 연구에서는 40개의 변이에 대해 기존 ClinVar 분류를 재검토하였으며, 불확실성 또는 충돌하는 분류의 일부를 해결하였습니다.

   - gene-specific 기준은 BRCA1과 BRCA2 변이의 ACMG/AMP 정렬 분류를 개선하는 데 가치가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gemini

## 유방암 유전자(BRCA1/2) 변이 판독의 정확성을 높이다: 논문 요약 🧬

이 논문은 유전성 유방암과 난소암의 주요 원인인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변이(유전적 돌연변이)를 더 정확하게 분류하는 새로운 기준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환자 진단과 관리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시한 연구입니다. 유전성 유방암과 난소암은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변이로 인해 발병 위험이 높아지는 질환으로, 이 유전자들의 변이가 '병을 일으키는지' 또는 '무해한지'를 정확히 판단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

### 연구 배경 🏥

[cite_start]BRCA1과 BRCA2 유전자는 1990년대에 발견된 이후로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진단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습니다[cite: 40]. 하지만 유전자 검사 기술이 발전하면서, 수많은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고, 이들 중 어떤 것이 실제로 질병을 유발하는지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아졌습니다. [cite_start]이로 인해 임상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변이의 분류에 대한 의견이 엇갈리거나 '불확실한 변이'로 분류되는 경우가 흔했습니다[cite: 82].

[cite_start]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전자 변이 분류에 대한 표준 기준인 **ACMG/AMP 가이드라인**이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cite: 46]. 하지만 이 가이드라인은 모든 유전자에 적용되는 일반적인 기준이어서, BRCA1/2 유전자와 같은 특정 유전자의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논문 저자들은 이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연구 데이터를 활용해 BRCA1/2 유전자에 특화된 맞춤형 가이드라인을 개발하고자 했습니다.

---

### 연구 목적 🎯

[cite_start]이 연구의 주요 목표는 기존의 유전자 변이 분류 시스템인 **ENIGMA 컨소시엄의 기준**을 미국 분자유전병리학회(ACMG/AMP)의 가이드라인과 통합하여, BRCA1/2 유전자 변이에 특화된 새로운 분류 기준을 제시하는 것입니다[cite: 1, 48].

[cite_start]이러한 **유전자 특화(gene-specific) 프로토콜**을 개발하고, 이를 실제 변이 사례에 적용한 결과를 보고함으로써, 유전자 검사 후 진단의 불확실성을 줄이고 환자 관리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기여하고자 했습니다[cite: 2, 3].

---

### 연구 방법 🔬

[cite_start]연구진은 먼저 ENIGMA 컨소시엄 소속 전문가들을 중심으로 **ClinGen VCEP (Variant Curation Expert Panel)**이라는 전문가 패널을 구성했습니다[cite: 11, 52]. [cite_start]이 패널은 유전학, 임상, 연구 분야의 전문가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기존의 ACMG/AMP 가이드라인을 BRCA1/2 유전자에 맞게 어떻게 수정하고 보완할지 논의했습니다[cite: 52].

특히 다음 단계들을 거쳤습니다:

* [cite_start]**기준 검토 및 조정:** 일반적인 ACMG/AMP 가이드라인에 있는 28개의 증거 코드(classification criteria)를 하나하나 검토하여, BRCA1/2 유전자에는 맞지 않는 13개의 코드를 제외했습니다[cite: 15, 112]. [cite_start]또한, 8개 코드는 BRCA1/2 유전자에 특화된 방식으로 용도를 확장하거나 재정의했습니다[cite: 16].

* [cite_start]**통계적 보정:** 유전자 변이가 병원성(pathogenic)인지 아닌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다양한 증거들(예: 가족력, 종양 병리학 데이터, 기능 분석 등)의 중요도와 강도를 **통계적 방법**을 통해 정밀하게 재조정했습니다[cite: 13, 21].

* [cite_start]**파일럿 테스트:** 새롭게 개발된 유전자 특화 기준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기존에 이미 분류된 40개의 BRCA1/2 유전자 변이를 대상으로 **파일럿 연구**를 진행했습니다[cite: 14, 78]. [cite_start]특히, 기존에 '불확실'하거나 '의견이 엇갈리던' 변이들을 집중적으로 평가했습니다[cite: 355, 78].

---

### 연구 결과 및 고찰 🔍

파일럿 연구 결과는 매우 긍정적이었습니다.

* [cite_start]**분류 불확실성 해소:** 기존에 '불확실한 변이' 또는 '분류가 엇갈리던 변이'로 보고된 13개 중 11개의 변이에 대해 명확한 분류 결과를 도출했습니다[cite: 19].

* [cite_start]**분류 신뢰도 향상:** 이미 분류된 변이들에 대해서도 기존 분류의 신뢰도를 유지하거나 더 높일 수 있었습니다[cite: 19].

[cite_start]이러한 결과는 **유전자 특화된 상세한 기준**이 BRCA1/2 변이의 분류 정확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을 입증합니다[cite: 22, 48]. [cite_start]또한, 이 연구는 단순히 일반적인 기준을 적용하는 것을 넘어, **각 데이터 유형의 증거 강도를 통계적으로 보정하는 과정**이 유전자 특이적인 적용에 얼마나 중요한지 보여주었습니다[cite: 21, 58].

---

### 의의와 시사점 ✨

이 연구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의 유전자 검사 분야에 다음과 같은 중요한 의미와 시사점을 제공합니다:

* [cite_start]**진단의 정확성 향상:**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중요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 불확실성과 불일치를 줄여, 유전 상담과 진단 과정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습니다[cite: 2].

* [cite_start]**환자 관리 개선:** 변이 분류의 신뢰도가 높아지면, 환자에게 더 적절한 예방 조치나 치료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cite: 3]. 예를 들어, 병원성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는 맞춤형 치료법을 제안하고, 무해한 변이를 가진 환자에게는 불필요한 불안감을 덜어줄 수 있습니다.

* [cite_start]**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한 프로토콜:** 이 연구를 통해 개발된 유전자 특화 프로토콜은 누구나 접근할 수 있도록 공개되어, 전 세계의 유전학 연구소와 병원에서 표준으로 활용될 수 있습니다[cite: 3]. 이는 전 세계적으로 유전성 암 진단의 일관성을 높이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

### 이 연구가 중요한 이유 💡

이 연구의 가장 중요한 점은 유전자 변이 분석에 있어 **'일반적인 접근법'을 넘어선 '맞춤형 접근법'의 필요성과 효과'**를 명확히 보여주었다는 것입니다. 모든 유전자를 하나의 기준으로 평가하는 것이 아니라, 각 유전자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해 세부적인 분류 기준을 마련함으로써, 진단 과정의 가장 큰 난관이었던 **'불확실한 변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환자와 그 가족들이 유전자 검사 결과를 더 신뢰하고, 이를 바탕으로 개인의 건강 관리 계획을 세우는 데 있어 매우 중요한 길잡이가 될 것입니다.


chatGPT

다음은 업로드하신 논문 내용을 바탕으로, 생명과학 비전공 성인 독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쓴 A4 2장 분량의 요약입니다.

---

## **BRCA1·BRCA2 유전자 변이 해석을 위한 맞춤형 기준 개발**

*(ClinGen ENIGMA 전문가 패널의 연구)*

### 1. 연구 배경

BRCA1과 BRCA2 유전자는 유방암과 난소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대표적인 유전자로, 1990년대 발견 이후 전 세계적으로 유전자 검사가 널리 사용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에서 ‘변이’가 발견되더라도, 그 변이가 실제로 질병을 일으키는지(병원성) 아니면 무해한지(양성) 명확히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의미 불명 변이(Variant of Uncertain Significance, VUS)’\*\*는 환자와 가족 모두에게 불확실성을 주고, 치료·예방 결정에도 혼란을 줍니다.

미국의학유전학회(ACMG)와 분자병리학회(AMP)는 모든 유전자에 공통 적용할 수 있는 변이 판정 가이드라인을 제시했지만, BRCA1·BRCA2처럼 연구 데이터가 풍부한 유전자에는 더 정밀하고 맞춤형 기준이 필요합니다.

이에 국제 연구 네트워크인 \*\*ENIGMA(전 세계 6대륙 참여)\*\*는 BRCA1·BRCA2 변이 해석 전문 패널(VCEP)을 구성해, 실제 환자 관리에 도움이 되는 **유전자별 변이 판정 세부 기준**을 만들었습니다.

---

### 2. 연구 목적

* BRCA1·BRCA2 변이에 대해 **기존 ACMG/AMP 가이드라인을 유전자 특성에 맞게 세분화·보완**

* 다양한 연구·임상 데이터를 통합해 **판정 정확도를 높이고 VUS를 줄이기**

* 전 세계 검사 기관이 동일한 기준으로 변이를 해석할 수 있도록 **공개·표준화**

---

### 3. 연구 방법

1. **전문가 패널 구성**

   * 연구자, 임상의사, 유전자검사 기관 전문가 등 다국적 팀이 참여

   * 매달 회의를 통해 ACMG/AMP 기준 각각의 적용 가능성과 수정 필요성을 검토

2. **기존 데이터와 통계 보정**

   * 인구 집단별 변이 빈도, 기능 실험, RNA 스플라이싱 분석, 가족 내 동반 발생, 종양 조직 특성 등 다양한 자료를 수집

   * 변이의 ‘병원성 가능성’을 \*\*통계적 지표(우도비, Likelihood Ratio)\*\*로 환산해 기준 강도를 조정

3. **파일럿 테스트**

   * 기존 ClinVar 데이터베이스에서 40개의 BRCA1·BRCA2 변이 선정

   * 새 기준을 적용해 판정하고, 기존 판정과 비교

   * 적용 과정에서 혼동되는 부분은 설명서·표·그림을 보강하여 사용 편의성 개선

---

### 4. 주요 결과

* **ACMG/AMP 기준 중 13개 항목은 BRCA1·BRCA2에는 부적합**하거나 중복되어 제외

* 15개 항목은 유전자 특성에 맞게 **가중치 조정·세분화**

  * 예: 단백질 기능 손실 변이(PVS1)는 발생 위치와 구조에 따라 ‘매우 강함\~보조 수준’으로 차등

  * 예: 동일 위치의 다른 병원성 변이 존재 시(PM5), 해당 엑손의 기능·임상 데이터에 따라 가중치 부여

* **변이 분류 개선 효과**

  * VUS 또는 상충 판정이었던 13개 중 11개 변이의 최종 판정 확정

  * 기존 ‘병원성’ 또는 ‘양성’ 판정 변이는 대부분 유지 또는 신뢰도 향상

  * 불확실성이 큰 미스센스 변이와 인트론 변이에서도 일부 분류 확정

---

### 5. 고찰

이번 연구는 BRCA1·BRCA2 변이 해석에서 **일반 지침의 한계를 보완**한 사례입니다.

특히,

* **정량화된 통계 분석**을 통해 데이터 신뢰도를 수치로 표현

* 병원성뿐 아니라 **비병원성 증거**(양성 가능성)도 적극 반영

* 기존에 활용되지 않던 임상 병리 정보(예: 종양 형태, 가족력)를 변이 판정에 체계적으로 통합

이러한 접근은 **변이 해석 표준화·정확성·재현성**을 크게 높이며, 다른 유전자에도 확장 적용이 가능합니다.

---

### 6. 의의와 시사점

* 환자와 가족이 받는 **불확실성을 줄이고**, 더 정확한 예방·치료 결정을 지원

* 전 세계 검사실이 **동일한 판정 기준**을 사용할 수 있는 기반 마련

* 향후 다른 유전자 변이 해석 가이드라인 개발에도 **모델 케이스**로 활용 가능

---

### 7. 이 연구가 중요한 이유

BRCA1·BRCA2 변이는 유방암·난소암 예방 수술, 약물 치료, 가족 검사 여부 등 **중대한 의료 결정을 좌우**합니다.

잘못된 판정은 불필요한 수술·검사를 초래하거나, 반대로 필요한 치료 기회를 놓칠 위험이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더 정밀한 유전자별 기준"\*\*이라는 방향성을 제시하며, 환자 맞춤형 정밀의료의 기반을 한층 강화했습니다.


NotebookLM

##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 유전자 변이 분류의 정확성을 높이다: BRCA1 및 BRCA2 변이 분류를 위한 새로운 기준

안녕하세요, 생명 과학 분야에 익숙하지 않은 일반 독자분들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유전성 유방암과 난소암의 진단 및 환자 관리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연구에 대해 소개해 드리고자 합니다. 이 연구는 유전자 검사 결과를 더 정확하게 해석하고, 이를 통해 환자들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제시합니다.

---

### **연구 배경: 왜 BRCA 유전자 변이 분류가 중요할까요?**

**BRCA1 및 BRCA2** 유전자는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HBOC)과 깊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1990년대에 이 유전자들이 발견된 이후 유전자 검사가 시작되었고, 이 유전자들의 변이(정상적인 유전자 서열과 다른 부분)가 암 발생 위험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해졌습니다. 연구자들이 이 변이들의 **임상적 유의성(clinical significance)**, 즉 이 변이가 실제로 질병을 유발하거나 위험을 높이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데 중점을 두었습니다.

하지만 BRCA1과 BRCA2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유의성을 평가하는 것은 매우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었습니다. 기존의 연구 과정이나 기본적인 분류 기준(ACMG/AMP 가이드라인)에는 **여러 간극과 불확실성**이 존재하여, 같은 변이라도 해석이 다를 수 있었습니다. 이로 인해 유전자 검사 후에도 환자들이 명확한 진단 정보를 받기 어려운 경우가 발생했습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NIGMA 연구 컨소시엄**은 유전성 암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유의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 적용해왔습니다. 2015년에는 ClinGen(Clinical Genome Resource, 유전자 변이의 임상적 관련성을 공유하고 해석하는 국제 컨소시엄)의 외부 전문가 패널로 BRCA1 및 BRCA2 분류 소그룹을 구성했습니다. 이후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인정한 절차**에 발맞춰 ClinGen 내부의 **변이 큐레이션 전문가 패널(VCEP)**로 발전했습니다. 이 연구는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BRCA1/2 변이 분류의 정확성과 표준화를 위한 핵심적인 발판을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했습니다.

### **연구 목적: 무엇을 해결하려고 했나요?**

이 연구의 주된 목적은 다음과 같습니다:

*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변이 분류를 위해 **유전자-특이적(gene-specific) ACMG/AMP 분류 기준 권고안을 개발하고 그 개요를 제시**하는 것입니다.

*   이러한 새로운 프로토콜을 통해 **유전자 검사 후 임상적 확실성을 향상**시키고, 결과적으로 **향상된 유전자 진단 및 환자 관리가 가능하도록 기여**하는 것입니다.

*   특히, 기존에 존재했던 변이 분류의 **불일치(discordances)와 불확실성(uncertainty)을 해결**하는 데 유전자-특이적이고 상세한 분류 사양(specifications)의 가치를 입증하고자 했습니다.

### **연구 방법: 어떻게 변이를 평가했나요?**

연구팀은 ClinGen BRCA1 및 BRCA2 VCEP을 구성하여 이 연구를 수행했습니다. 이 패널은 호주, 유럽, 미국을 아우르는 주요 진단 검사 기관의 대표자들을 포함한 **연구 및 임상 전문가들**로 이루어졌습니다. 이들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변이 분류 기준을 개발하고 검증했습니다:

1.  **기준 검토 및 수정:** 기존의 ACMG/AMP 분류 가이드라인을 검토하여 각 기준이 BRCA1 및 BRCA2 변이 해석에 적합한지, 수정이 필요한지, 또는 제외되어야 하는지 결정했습니다.

2.  **증거 강도 보정:** 통계적 방법(예: 로지스틱 회귀 분석, 우도비(LR) 추정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데이터 유형(인구 빈도, 기능 연구, 가족 내 분리 등)에 대한 **증거의 강도(지지, 보통, 강함, 매우 강함, 단독)**를 정교하게 보정했습니다. 이는 각 증거가 변이의 병원성(질병 유발 가능성)에 얼마나 기여하는지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함이었습니다.

    *   예를 들어, PM2(인구 데이터에서의 부재/희귀성) 및 BS1/BA1(대립 유전자 빈도)과 같은 빈도 코드는 LR 기반 방법과 ClinGen에서 권장하는 최소 신뢰 가능 대립 유전자 빈도 추정 방식을 결합하여 정보가 제공되었습니다.

    *   PM3 및 BS2 코드를 적용하기 위해 판코니 빈혈 증후군(FA) 표현형의 유무를 고려했습니다.

    *   PP1 및 BS4 코드는 BRCA1 및 BRCA2 변이 해석을 위해 유전자-특이적, 연령-특이적 누적 위험 및 배경 인구 발생률을 고려하여 기존에 확립된 방법을 기반으로 개선되었습니다.

3.  **기준 재정의 및 재목적화:** 총 13개의 원래 ACMG/AMP 기준 설명이 **BRCA1/2 유전자에 적용하기 어렵거나 다른 기준과 중복**된다고 판단하여 제외했습니다. 반면, 8개의 기준은 BRCA1/2 유전자의 특성에 맞게 **사용 시나리오를 확장하거나 새로운 목적에 맞게 재정의**했습니다.

    *   특히, **PM5 코드**는 조기 종결 코돈(PTC) 변이의 엑손(유전자의 특정 부분)별 가중치를 할당하도록 **재목적화**되어, 특정 엑손에서 PTC 변이가 실제로 병원성임을 입증하는 데 활용되었습니다.

    *   **PP4 및 BP5 코드**는 여러 요인을 고려한 우도비 분석(multifactorial likelihood ratio analysis)을 통해 병원성(PP4) 또는 비병원성(BP5)에 대한 **결합된 우도비 추정치를 반영**하도록 재목적화되었습니다.

4.  **파일럿 연구 및 피드백:** 개발된 기준을 **40개의 파일럿 변이**에 시범적으로 적용했습니다. 이 변이들은 기존 ClinVar(유전자 변이와 표현형의 관계에 대한 공개 데이터베이스)에 불확실하거나 상충되는 분류를 가진 변이들을 포함했습니다. VCEP 멤버(비큐레이터)들은 변이-특이적 정보(인구 빈도, 우도비 데이터, 기능 및 RNA 스플라이싱 분석 데이터, 생물정보학적 예측 결과 등)를 검토하고 분류했습니다. 비큐레이터들의 피드백을 바탕으로 문서의 명확성과 사용 편의성을 개선하고, 생물정보학적 예측 점수(예: BayesDel)의 절단점(cut-point)을 재평가하여 반영했습니다.

5.  **검증 및 공개:** ClinGen Sequence Variant Interpretation Working Group (SVI WG)의 최종 검토를 거쳐 모든 사양과 결과가 공개적으로 접근 가능하도록 ClinGen Evidence Repository 및 ClinVar 데이터베이스에 제출되었습니다.

### **연구 결과: 어떤 점이 밝혀졌나요?**

파일럿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중요한 결과들이 나타났습니다:

*   **변이 분류의 해결 및 신뢰도 향상:** 기존 ClinVar에서 **불확실하거나 상충되는 분류를 가졌던 13개의 변이 중 11개(약 85%)의 분류가 해결**되었습니다. 또한, 기존에 병원성/유사 병원성(LP/P) 또는 양성/유사 양성(LB/B)으로 분류되었던 변이들의 분류에 대한 **신뢰도가 유지되거나 더욱 향상**되었습니다.

    *   특히, "VUS/기타" 그룹으로 분류되었던 8개 변이 중 6개가 단일 분류로 해결되었고, LP/P 또는 LB/B로 분류되었던 변이들은 P(병원성) 또는 B(양성)와 같은 **더욱 확실한 분류로 전환**되었습니다.

*   **기준 적용의 이질성 해소:** 기존 ACMG/AMP 기준 중 13개는 BRCA1/2에 적용하기에 부적절하거나 중복되어 제외되었으며, PS2/PM6(새로운 발생), PM1(핫스팟 위치), PS4_Moderate(환자 수 계산) 등의 특정 코드는 BRCA1/2 유전자의 특성상 적절하지 않다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반면, 8개의 기준은 유전자 특성을 반영하여 **사용 시나리오가 확장되거나 재목적화**되어 변이 분류에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   **BayesDel 점수 보정 결과:** 미스센스 변이 예측을 위한 BayesDel 점수 보정에서, BRCA1의 경우 0.27, BRCA2의 경우 0.20이 임상적으로 중요한 기능 도메인 내 변이에 대한 최적의 이진 절단점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일반적인 사용을 위한 기존 권고안과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유전자-특이적 접근의 필요성**을 뒷받침합니다.

### **고찰, 의의 및 시사점: 이 연구가 왜 중요한가요?**

이 연구는 BRCA1 및 BRCA2 유전자 변이의 분류 정확도를 크게 높이는 **혁신적인 증거 기반 사양(specifications)을 제공**합니다. 이는 단순히 학술적 성과를 넘어, **환자 진단 및 관리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직접적으로 기여**합니다.

*   **정확한 진단의 기반 마련:** 연구팀은 기존 ENIGMA의 연구 분류 과정과 ACMG/AMP 가이드라인 사이의 간극을 메우고, 통계적 보정을 통해 각 **증거 유형의 유용성과 강도를 정당화**했습니다. 이는 BRCA1/2 변이 분류의 **표준화를 가능하게 하여 일관되고 신뢰할 수 있는 진단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합니다.

*   **다른 유전자 및 가이드라인에 미치는 영향:** 이 연구에서 개발된 유전자-특이적 접근 방식은 BRCA1/2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플라이싱 예측을 위한 생물정보학적 계층 도입, RNA 데이터 고려, 빈도 코드 주석을 위한 읽기 깊이 고려 등 여러 사양들은 ClinGen의 다른 VCEP(예: PALB2, ATM, CDH1, RUNX1 등)에서도 채택되었으며, 심지어 **향후 멘델성 질환 분류 가이드라인의 다음 버전 초안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는 이 연구가 유전학 분야 전반의 변이 분류 표준을 향상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지속적인 개선의 기반:** 이 연구는 ClinVar에 있는 방대한 양의 BRCA1 및 BRCA2 변이(현재 BRCA1 14,665개, BRCA2 18,884개)를 **ACMG/AMP 기준에 따라 검토하고 재평가하는 과정의 시작점**입니다. 이러한 작업은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지만, BRCA Exchange 포털을 통한 알고리즘적 코드 할당과 같은 효율성 도입 노력도 진행 중입니다. 이는 향후 새로운 데이터셋(예: gnomAD v4)이나 연구 결과가 나올 때마다 **BRCA1/2 VCEP 사양을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하고 개선할 수 있는 틀**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유전성 암 진단의 정확성을 끊임없이 발전**시킬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는 유전자 변이 분류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유전자 진단의 정확성을 높여 **환자들이 자신의 유전적 위험에 대해 더 명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돕는 매우 중요한 진전**입니다. 이는 유전성 암의 조기 진단 및 맞춤형 치료 전략 개발에 필수적인 기반을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환자 개개인의 건강 증진에 크게 기여할 것입니다.


grok3

### BRCA1/2 유전자 변이 분류를 위한 새로운 지침: 암 위험 예측을 더 정확하게

#### 연구 배경

BRCA1과 BRCA2 유전자는 유방암과 난소암 같은 유전성 암의 주요 원인입니다. 1990년대 발견된 이래, 이 유전자 변이(돌연변이)를 검사해 암 위험을 예측하는 일이 중요해졌죠. ENIGMA라는 국제 연구 그룹은 변이의 임상적 의미(암 유발 여부)를 평가하는 방법을 개발해 왔습니다. 하지만 미국 의학 유전학 협회(ACMG/AMP)의 표준 지침이 모든 유전자에 적용되면서, BRCA1/2에 특화된 세부 규칙이 필요했습니다. 기존 ENIGMA 패널은 연구 중심이었지만, ClinGen(임상 유전체 자원) 내부 전문가 패널(VCEP)로 전환해 FDA 인정 프로세스를 따르게 됐어요.

#### 목적

이 연구는 ACMG/AMP 지침을 BRCA1/2에 맞게 조정해, 변이 분류를 위한 증거 기반 추천을 만드는 데 있습니다. 이를 통해 유전자 검사 후 불확실한 변이를 명확히 분류하고, 환자 관리(예방·치료)를 개선하려 했어요. 특히, 다양한 데이터(인구 빈도, 기능 실험, 가족력 등)의 강도를 통계적으로 보정하는 게 핵심입니다.

#### 방법

전문가 30여 명이 ACMG/AMP의 28개 기준(코드)을 검토했습니다. 일부 코드는 BRCA1/2에 맞지 않아 배제하거나 재정의(예: PM5 코드를 조기 종료 변이에 특화). 통계 기법(가능도 비율 추정, 로지스틱 회귀 등)으로 증거 강도(지지, 중간, 강력 등)를 조정했습니다. 40개 변이(불확실 13개, 병원성 14개, 양성 13개)를 시범 분류한 후, 피드백으로 지침을 수정하고 재분석했어요.

#### 결과

13개 코드가 BRCA1/2에 적용 불가하거나 중복으로 판정됐습니다. 나머지 15개에 세부 사양을 지정하고, 4개를 재목적화(예: PP4/BP5로 가족력·종양 병리 데이터를 통합). 시범 결과, 불확실/충돌 변이 13개 중 11개가 명확히 분류됐고(5개 병원성, 3개 양성 등), 나머지 변이는 분류 신뢰도가 유지되거나 높아졌습니다. 예를 들어, BayesDel 도구로 미스센스 변이 예측 범위를 세분화해 정확도를 높였어요.

#### 고찰

기존 ENIGMA 분류는 연구 중심으로 다중 요인 분석을 썼지만, ACMG/AMP와 맞추며 격차를 발견했습니다. 예를 들어, 'de novo' 변이는 암 발생률이 높아 보정되지 않아 배제됐고, 인구 빈도 코드는 gnomAD 데이터로 재조정됐어요. 시범에서 불일치는 데이터 해석 차이 때문이었으나, 수정 후 해결됐습니다. 미래엔 gnomAD v4 같은 새 데이터로 업데이트 필요합니다.

#### 의의와 시사점

이 지침은 변이 분류를 표준화해 검사 결과의 불확실성을 줄입니다. 예방 수술이나 약물 치료 결정을 돕고, 다른 암 유전자(ATM, PALB2 등) VCEP에도 영향을 줍니다. 궁극적으로 암 조기 발견과 개인화 의료를 촉진해요.

이 연구가 중요한 이유는 BRCA1/2 변이가 수백만 명의 암 위험을 결정짓기 때문입니다. 정확한 분류로 불필요한 불안을 줄이고, 생명을 구하는 데 기여할 수 있어요. 


perplexity.ai

## BRCA1/BRCA2 유전자 변이 판별 지침의 발전과 중요성: ENIGMA-ClinGen 연구 요약

### 연구 배경

유전성 유방암 및 난소암의 원인으로 잘 알려진 BRCA1, BRCA2 유전자는 1990년대에 발견된 이래, 질병 위험도 예측과 환자 맞춤 치료에 중요한 역할을 해왔습니다. 유전자 검사로 다양한 변이가 발견되기 때문에, "이 변이가 실제로 질병을 일으키는가?"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은 환자와 가족의 치료 결정에 핵심적입니다. 그러나 기존 변이 해석 지침(ACMG/AMP)은 모든 유전자에 일괄적으로 적용되어, BRCA1/2 특성에 꼭 맞다고 보기 어려웠고, 일부 변이에 대해서는 해석이 불명확하거나 전문가마다 결과가 달랐습니다.

### 연구 목적

이 논문은 국제 ENIGMA 연구 컨소시엄의 BRCA1/BRCA2 전문가 패널(ClinGen ENIGMA VCEP)이 **BRCA1/2 유전자 특성에 맞는 변이 해석 기준(ACMG/AMP 코드)**을 어떻게 최적화했는지, 그리고 이 프로토콜이 실제 환자 유전자 변이를 얼마나 더 명확하게 분류하는 데 기여하는지 제시합니다.

### 연구 방법

- 전문가 패널이 ACMG/AMP 지침의 각 해석 코드를 BRCA1/2에 적합한지 검토(예: 어느 코드는 사용, 어느 코드는 제외, 일부는 새롭게 적용 방법 재설정)

- **실제 데이터**(유전자 검사 결과, 가족력, 암 환자 데이터, 유전체 데이터, 실험 결과 등)를 통계적으로 분석해, 각 코드의 '증거 강도'를 객관적으로 보정

- 40여 개의 실제 BRCA1/2 변이에 새로운 기준을 적용, 기존 평가와 비교하여 감별력 및 신뢰성 검증

### 주요 결과

- 기존 ACMG/AMP 기준 중 13개는 BRCA1/2에 적합하지 않거나 중복되어 제외, 15개 코드는 세부적으로 보완해 사용

- 통계적으로 **각 증거의 강도(이 변이가 위험 변이일 확률에 미치는 영향)**를 수치화해 코드에 반영

- 일부 기존 지침(PM5, PP4, BP5 등)은 BRCA1/2 특성에 맞게 새롭게 해석하거나, 완전히 다른 증거(예: 다중 데이터 통합근거)에 적용

- 변경된 지침을 적용했을 때, 기존에 '불확실' 또는 서로 다른 해석이 많았던 변이의 85%에서 명확한 결론(병적, 혹은 양성)이 도출됨

- 이 과정에서 예측 도구(예: BayesDel), 실험 데이터, 대규모 유전체 분석 등 다양한 최첨단 데이터를 통합적으로 활용

### 고찰

- **ACMG/AMP 지침은 매우 중요한 국제적 기준이지만**, 모든 유전자에 일괄 적용하면 일부 유전자(특히 BRCA1/2)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음

- ENIGMA-ClinGen 패널의 이번 연구는 BRCA1/2 유전자별 특성, 질병 특성, 다양한 데이터(인공지능 예측, 대규모 데이터, 임상 정보, 실험 데이터 등)를 통계적으로 종합하고, 변이 해석 기준을 세부적인 증거 등급화 체계로 고도화

- 질병 원인 변이 해석의 일관성과 신뢰성을 높임

- 이번에 개발된 프로토콜과 증거 가중치 체계는 향후 다른 유전자(예: PALB2, ATM 등) 해석 지침 개선에도 적용 가능

### 의의와 시사점

- 새롭게 개발된 BRCA1/2 변이 해석 기준은 유전자 검사의 **정확도와 신뢰성**을 높여, 환자와 가족에게 보다 명확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전문가마다 결과가 달랐던 '애매한' 변이의 해석 차이를 해소해, 의료진과 환자가 더 좋은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습니다.

- BRCA1/2 유전자 외 다른 유전성 암, 희귀질환 유전자에도 적용될 수 있는 '맞춤형 변이 해석 프로토콜'의 모델을 제시합니다.

***

### 이 연구가 중요한 이유

**유전자 검사가 일상화된 시대에, 오진 또는 과잉진단·부족진단의 위험을 줄이는 명확한 판별 기준이 필수적입니다.**  

이번 연구는 BRCA1/2 유전자의 특수성에 맞게 해석 프로토콜을 발전시켰다는 점에서, 실제 환자 진단·치료의 질을 한 단계 끌어올릴 뿐 아니라, 맞춤유전의료의 미래에도 큰 기여를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1] https://ppl-ai-file-upload.s3.amazonaws.com/web/direct-files/attachments/40912948/4713f505-9c9d-4765-b63c-be2e63f80038/1-s2.0-S000292972400257X-main.pdf




출처: @ye._.vely618


수요일, 10월 30, 2024

멕시코 여성의 유방암, 유전자에 답이 있을까? - BRCA 유전자 변이 연구 이야기

오늘은 2019년도에 출판되었던 논문을 가져와봤습니다. 제목은 Analysis of the pathogenic variants of BRCA1 and BRCA2 using next-generation sequencing in women with familial breast cancer: a case–control study. 으로 멕시코 여성들의 BRCA1/2 변이에 대해서 연구한 내용입니다. 


DOI: 10.1186/s12885-019-5950-4


gemini

## 멕시코 여성의 유방암, 유전자에 답이 있을까? - BRCA 유전자 변이 연구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좀 어려운 주제지만, 우리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유전자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바로 **유방암 발병과 깊은 연관이 있는 BRCA 유전자**에 대한 연구인데요,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흥미로운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 왜 멕시코 여성을 대상으로 연구했을까요? 🤔

우리 몸의 세포에는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가 있고, DNA는 여러 개의 유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 중 BRCA1, BRCA2 유전자는 **유방암을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요,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높아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이 BRCA 유전자 변이는 **인종이나 지역에 따라 그 빈도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멕시코는 다양한 인종이 섞여 있는 나라인데, 특히 북동부 지역은 유전적으로 독특한 특징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 연구 결과는 어땠을까요? 🔬

40세 이하의 유방암 환자, 50세 이상의 유방암 환자, 그리고 건강한 여성 그룹으로 나누어 BRCA 유전자 변이를 분석한 결과, 40세 이하 유방암 환자 그룹에서 **13.8%**의 여성이 BRCA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이라는 유형의 유방암을 가진 여성의 경우 변이 빈도가 **40%**까지 높아졌다고 하네요.

### 멕시코 여성에게만 나타나는 특이한 변이도 있었다고요? 😮

놀랍게도 이번 연구에서는 기존에 보고된 적 없는 새로운 BRCA1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습니다! 33세에 양측 유방암과 삼중 음성 유방암 진단을 받은 여성에게서 발견된 이 변이는 유전자의 기능을 손상시켜 유방암 발생 위험을 높이는 것으로 예측됩니다.

###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것은 무엇일까요? 🧐

이번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들의 유방암 예방 및 치료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유전자 검사를 통해 BRCA 유전자 변이를 확인하고, **변이가 발견된 여성들에게는 정기적인 검진과 예방적 치료를 통해 유방암 발생 위험을 낮출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직까지 유전자 변이와 유방암 발생 사이의 정확한 메커니즘, 그리고 개인별 맞춤형 치료법 개발 등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합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유방암으로부터 여성들을 보호할 수 있기를 기대해 봅니다!



chatGPT

**멕시코 북동부 지역에서 BRCA 유전자 변이를 조사한 이유와 결과**

유방암은 전 세계적으로 여성에게 가장 흔한 암 중 하나이며, 많은 여성의 건강을 위협하는 중요한 질환입니다. 특히 유전적 요인이 유방암 발생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BRCA1과 BRCA2 유전자가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최근 멕시코 북동부 지역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이 유전자의 변이가 얼마나 자주 발생하는지, 그리고 이런 변이가 유방암 발병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되었습니다.

### 왜 BRCA 유전자를 조사했을까?

BRCA1과 BRCA2 유전자는 우리 몸의 세포가 제대로 작동하고, 손상된 DNA를 복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유방암이나 난소암 같은 암이 발생할 위험이 매우 높아집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는 경우, 이 유전자 변이를 가진 여성은 평생 동안 50-85%의 확률로 유방암에 걸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에서 유방암의 가족력이 있거나 유전적 요인이 의심되는 여성들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그동안 많은 연구가 미국이나 유럽에서 진행되었지만, 라틴 아메리카, 특히 멕시코 지역에 대한 정보는 부족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지역의 여성들에게서 BRCA 유전자 변이가 얼마나 흔한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해당 변이와 유방암의 관계를 명확히 하고자 했습니다.

### 연구에서 얻은 주요 결과는?

연구는 총 195명의 여성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이 중 101명은 유전적 요인이 의심되는 고위험군에 속했고, 22명은 산발적으로 발생한 유방암 환자였으며, 72명은 건강한 여성이었습니다. 이들의 DNA를 분석한 결과, 고위험군의 13.8%가 BRCA1 또는 BRCA2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호르몬 수용체와 HER2 수용체가 모두 없는 유형) 환자에서는 변이 빈도가 40%로 매우 높게 나타났습니다.

연구 결과는 이 지역 여성들 사이에서 BRCA 유전자 변이 빈도가 다른 인구 집단과 유사하다는 것을 보여주었으며,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에서는 BRCA 유전자 검사의 필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즉, 특정 임상적 특성을 가진 환자들은 유전자 검사를 받아야 한다는 것을 확인한 것입니다.

### 앞으로 더 논의되어야 할 내용은?

이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에서 BRCA1과 BRCA2 유전자 변이가 어느 정도 발생하는지 밝히는 중요한 첫걸음을 내딛었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연구진은 변이 유형과 관련된 정보가 여전히 부족하다는 점을 강조하며, 멕시코와 같은 유전적 다양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습니다.

또한, 이 연구는 유방암 위험이 높은 여성들이 유전자 검사를 받을 수 있도록 적극적으로 권장해야 한다는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유전자 검사 결과에 따라 개인 맞춤형 암 예방 및 치료 전략을 세우는 것이 가능하며, 이를 통해 암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을 것입니다.

### 결론

이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의 BRCA1과 BRCA2 유전자 변이 빈도를 처음으로 체계적으로 조사한 중요한 연구입니다. 유전적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유방암의 경우, 조기 검진과 유전자 검사를 통해 적절한 예방 조치를 취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가족력이 있거나 삼중 음성 유방암과 같은 특정 유형의 암에 걸린 환자라면 유전자 검사를 통해 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이를 통해 암 예방과 치료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이 연구는 멕시코뿐만 아니라 다른 지역에서도 유전적 특성을 이해하고, 이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치료의 필요성을 강조하는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입니다.



clova-x

제목: 멕시코 북동부 여성의 BRCA 유전자 변이 연구 결과

안녕하세요, 오늘은 생명공학 분야에서 중요한 연구 결과 하나를 소개해드리려고 합니다. 바로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한 BRCA 유전자 변이에 대한 연구입니다.

BRCA 유전자는 인간의 유전 정보를 담고 있는 DNA 중 유방암 및 난소암과 관련된 변이를 가지고 있는 유전자입니다. 이 유전자의 변이 여부는 암의 조기 진단 및 예방, 치료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변이 빈도를 조사하였습니다. 그 이유는 멕시코는 지리적, 인종적으로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어, 이 지역 여성들의 유전자 변이 패턴을 파악하는 것이 다른 지역과의 비교를 통해 유전성 유방암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했기 때문입니다.

연구진은 총 세 그룹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첫 번째 그룹은 40세 이하의 유방암 진단을 받았거나 유전성 유방암 위험 요인이 있는 여성 101명, 두 번째 그룹은 50세 이상의 산발성 유방암 환자 22명, 마지막 그룹은 건강한 여성 72명이었습니다.

혈액 샘플에서 DNA를 추출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을 수행한 결과,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특히 40세 이하의 유방암 환자 그룹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삼중 음성 아형을 가진 환자에서 유전자 돌연변이 빈도가 40%로 높았습니다.

삼중 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단백질이 모두 음성인 유방암으로, 다른 유형의 유방암보다 공격적이고 예후가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삼중 음성 유방암과 BRCA 유전자 변이 사이의 연관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함을 시사합니다.

이번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들의 BRCA 유전자 변이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큰 역할을 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유전성 유방암의 예방 및 치료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접근 방법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또한, 이번 연구 결과는 인종적, 지리적 다양성이 유전자 변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사례로, 다른 지역에서도 이와 유사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입니다.



NotebookLM

## 멕시코 여성에게서 나타나는 BRCA 유전자 변이, 그리고 유방암

**유방암은 전 세계 여성들에게 가장 흔한 암**이며, 특히 개발도상국에서는 주요 사망 원인이기도 합니다. 유방암 중에서도 **약 10%는 유전적인 요인**으로 발생하는데, 그중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변이는 15-40%를 차지**합니다. BRCA 유전자는 DNA 손상을 복구하고 세포 성장을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이 유전자에 변이가 생기면 유방암, 난소암 등 여러 암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하게 됩니다. 

**이 연구는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들을 대상으로 BRCA1, BRCA2 유전자 변이의 빈도를 조사하고, 이 변이가 유방암 발생과 어떤 관련성을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습니다.** 특히, 이 지역은 유럽, 아프리카, 아메리카 원주민의 유전적 혼합으로 인해 BRCA 유전자 변이에 대한 정보가 부족했기 때문에 이 연구가 중요한 의미를 가집니다.

### 연구는 어떻게 진행되었을까요?

연구팀은 멕시코 북동부 지역의 여성들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 **1군**: 40세 이하의 유방암 환자 또는 유전성 유방암 위험 요인을 가진 여성 101명 

* **2군**: 50세 이상의 산발성 유방암 환자 22명 

* **3군**: 건강한 여성 72명

각 그룹 참가자들의 혈액 샘플에서 DNA를 추출하여 차세대 염기서열 분석(NGS)을 통해 BRCA1, BRCA2 유전자의 변이를 분석했습니다.

### 연구 결과는?

* **1군 (40세 이하 유방암 환자 또는 유전성 유방암 위험 요인을 가진 여성) 에서는 13.8%의 여성에게서 BRCA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이 중 BRCA1 유전자 변이를 가진 여성은 12명, BRCA2 유전자 변이를 가진 여성은 2명이었습니다.

* **2군 (50세 이상의 산발성 유방암 환자) 에서는 2명의 여성에게서 BRCA1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으며, 3군 (건강한 여성) 에서는 BRCA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지 않았습니다**.

*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 아형을 가진 1군 여성의 경우, **무려 40%에서 BRCA 유전자 변이가 발견**되었습니다. **삼중 음성 유방암**은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HER2 수용체가 모두 음성인 유방암으로, 예후가 좋지 않고 치료법이 제한적인 유형입니다.

### 이 연구 결과가 말해주는 것은?

* 멕시코 북동부 지역 여성의 **BRCA 유전자 변이 빈도는 다른 인구 집단에서 보고된 것과 유사한 수준**입니다. 

* **젊은 여성의 유방암 발생률이 예상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BRCA 유전자 변이 검사의 필요성을 시사합니다. 

* **특히 삼중 음성 유방암 환자의 경우 BRCA 유전자 변이 빈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유전자 검사를 통해 적절한 치료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앞으로 더 논의되어야 할 점은?

* 멕시코는 다양한 인종이 혼재된 국가이기 때문에, 지역별 BRCA 유전자 변이 빈도와 유형을 더 자세히 조사할 필요가 있습니다.

* BRCA 유전자 변이를 가진 여성들의 유방암 발생 위험을 낮추기 위한 예방 전략과, 효과적인 치료법 개발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합니다.

* 유전자 검사 비용 부담, 검사 결과에 대한 오해, 사회적 차별 등 유전자 검사 접근성을 제한하는 요인들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 연구는 BRCA 유전자 변이가 멕시코 여성의 유방암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앞으로 더 많은 연구와 논의를 통해 유방암 예방과 치료, 그리고 유전자 검사의 접근성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claude

안녕하세요, 오늘은 멕시코에서 진행된 흥미로운 유방암 연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우리는 종종 유방암에 대해 듣게 되는데요, 그중에서도 '유전성 유방암'이라는 말을 들어보셨나요? 이는 특정 유전자의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유방암을 말합니다. 그 중심에 있는 유전자가 바로 BRCA1과 BRCA2입니다.

왜 이 연구를 했을까요?

1. 지역적 특성 이해: 유전자 변이는 지역과 인종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어요. 멕시코 북동부 지역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이 연구를 진행했습니다.

2. 효과적인 검진 방법 개발: 어떤 사람들이 유전자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 결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3. 맞춤 의료의 기초: 개인의 유전적 특성에 맞는 치료 방법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연구 결과 무엇을 알게 되었나요?

1. 변이 빈도: 고위험군 여성 중 약 14%가 BRCA1 또는 BRCA2 유전자에 변이가 있었습니다. 이는 다른 나라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수준이에요.

2. 특정 유형의 유방암과의 연관성: BRCA 유전자 변이가 있는 사람들 중 65%가 '삼중음성 유방암'이라는 특정 유형의 유방암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이는 매우 중요한 발견인데요, 이 유형의 유방암 환자들에게 유전자 검사를 권유해볼 만하다는 뜻입니다.

3. 모유 수유의 중요성: 흥미롭게도, 유전자 변이가 있는 여성들 중 모유 수유를 한 비율이 더 낮았어요. 이는 모유 수유가 유방암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기존의 연구 결과를 뒷받침합니다.

4. 검사 방법의 중요성: 연구팀은 두 가지 다른 방법으로 유전자를 검사했는데, 둘 다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정확한 진단을 위해 여러 방법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이 연구 결과는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1. 맞춤형 검진: 특정 유형의 유방암 환자나 가족력이 있는 사람들에게 유전자 검사를 권유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 예방의 중요성: 모유 수유와 같은 생활 습관이 유전적 위험을 가진 사람들에게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3. 정확한 진단: 여러 검사 방법을 병행해야 한다는 점을 알게 되어, 앞으로 더 정확한 진단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4. 지역 맞춤 의료: 멕시코 북동부 지역의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이 지역 주민들에게 더 적합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더 연구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요?

1. 다른 지역과의 비교: 멕시코의 다른 지역이나 다른 나라와 비교 연구를 통해 더 넓은 이해를 얻을 수 있을 것입니다.

2. 예방 전략: 모유 수유 외에 다른 생활 습관이 유전적 위험을 줄일 수 있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습니다.

3. 치료법 개발: 이런 유전적 특성을 가진 환자들에게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은 무엇인지 연구해야 합니다.

이 연구는 유방암 예방과 치료에 있어 큰 진전을 이루었습니다. 우리 모두가 건강에 대해 더 관심을 가지고, 필요하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적절한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다시 한 번 상기시켜주는 연구 결과였습니다.


오늘은 간만에 claude를 사용해봤습니다. 이유는!! 논문의 양이 무료이용범위안에 허용되어서 입니다. ;) 

NGS는 시간도 절약하고 비용 효율적이면서 민감도와 특이도가 높아서 유전자 검사에 용이(지금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하나 MLPA와 같은 다른 기술을 함께 사용하면 더 좋은 결과(aka 정확도를 높이는)를 얻을 수 있어서 임상의들의 결정에 중요하다고 하네요.

중남미국가에서 대규모의 19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했다는것에 의의가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출처: @ye._.vely618


화요일, 4월 02, 2024

누가 누가 BRCA를 잘 검사할까?

근데.. 그걸 논하기에는 2018년 논문이라서.. 의미가 있을지는 모르겠지만..

NGS를 이용한 BRCA1/2 Kit을 가지고 상호 벤치마킹 한 결과 되겠습니다.

논문 제목은 Benchmarking of Amplicon-Based Next-Generation Sequencing Panels Combined with Bioinformatics Solutions for Germline BRCA1 and BRCA2 Alteration Detection 이고,

doi는 10.1016/j.jmoldx.2018.06.003 입니다.


우선 gemini에게 논문 내용을 바탕으로 블로그에 올릴 글을 작성해달라고 했습니다.


## BRCA 검사란 무엇일까요?

BRCA 검사는 유방암과 난소암 발병 위험을 높일 수 있는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돌연변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BRCA 유전자는 DNA 손상을 복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유전자에 돌연변이가 발생하면 암 발생 위험이 크게 증가할 수 있습니다.


## BRCA 검사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1. 혈액 검사:**

가장 일반적인 BRCA 검사 방법입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BRCA1 및 BRCA2 유전자의 전체 또는 일부를 분석하여 돌연변이를 확인합니다.

**2. 조직 검사:**

암 진단 후 조직 검사를 통해 BRCA 유전자 돌연변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가족력 기반 검사:**

가족 중에 유방암이나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가족력 기반 검사를 통해 BRCA 유전자 돌연변이 위험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 BRCA 검사는 누가 받아야 할까요?

다음과 같은 경우 BRCA 검사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유방암이나 난소암 진단을 받은 경우

* 가족 중에 유방암이나 난소암 환자가 있는 경우

* 유방암 또는 난소암 발병 위험이 높다고 판단되는 경우


## BRCA 검사를 받기 전에 주의해야 할 것들

* BRCA 검사 결과는 암 발병 여부를 확실하게 알려주는 것이 아닙니다.

* BRCA 검사 결과에 따라 심리적인 부담을 느낄 수 있습니다.

* BRCA 검사 결과는 유전 상담을 통해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BRCA 검사 후 주의해야 할 것들

* BRCA 유전자 돌연변이가 확인된 경우, 정기적인 검진 및 예방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 BRCA 검사 결과는 가족들에게 공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BRCA 검사는 암 예방 및 조기 발견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검사를 받기 전에 충분한 정보를 얻고, 유전 상담을 통해 검사 결과를 해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은 clova-x에게 블로그에 올릴 글 하나 작성해달라고 하였습니다.


제목: BRCA 검사, 어떤 방법이 가장 정확할까?

유방암과 난소암은 여성들에게 매우 치명적인 질환입니다. 이러한 질환의 발생 위험을 미리 예측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유전자 검사가 필요합니다. 그 중에서도 BRCA1과 BRCA2 유전자 검사는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생 위험을 예측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BRCA 검사는 BRCA1과 BRCA2 유전자의 변이를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이 유전자는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생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만약 이 유전자에 변이가 있다면, 유방암과 난소암의 발생 위험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BRCA 검사를 통해 자신의 유전자 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BRCA 검사에는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1.**PCR 기반 검사**: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 유전자의 특정 부위를 증폭하여 변이 여부를 확인합니다. 검사 비용이 저렴하고, 검사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정확도가 다소 떨어질 수 있습니다.

2.**NGS 기반 검사**: 유전자 전체를 시퀀싱하여 변이 여부를 확인합니다. 검사 정확도가 매우 높고, 다양한 종류의 변이를 검출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비용이 비싸고, 검사 결과를 얻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립니다.

3.**액세스 배열 기반 검사**: 마이크로어레이 기술을 이용하여 유전자의 변이를 검출합니다. 검사 정확도가 높고, 검사 결과를 빠르게 얻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검사 비용이 비싸고, 검사 대상 유전자가 제한적입니다.

BRCA 검사는 유방암과 난소암의 예방과 치료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검사 결과를 해석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받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검사를 받기 전에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BRCA 검사는 개인의 유전 정보를 다루는 검사이기 때문에, 검사 결과가 유출될 경우 개인의 사생활 침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검사를 받을 때는 검사 기관의 보안 시스템을 확인하고, 검사 결과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유방암과 난소암은 여성들에게 매우 치명적인 질병입니다. 하지만, BRCA 검사를 통해 자신의 유전자 변이 여부를 확인하고, 이에 따라 적절한 예방과 치료를 받으면, 이들 질병의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들은 BRCA 검사에 대해 적극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전문가의 조언을 듣는 것이 중요합니다.


gemini를 쓰면서 느끼는 것은 답변의 대부분을 개조식으로 요약만 하는 듯 한 느낌을 많이 받았습니다. 난 문장으로 작성해달라고 했는데.. 결국 개조식으로 답변을... 

그리고 이번 같은 경우 구글 드라이브에 논문 파일을 업로드해서 정리하라고 했는데... 논문 내용이 아닌 일반적인 내용을 냅다 읊조리는 듯한 건 저만 느끼는건 아니죠?

반면에 클로바X는 그럭저럭 사용자가 요구한것을 잘 맞추려고 노력한 모습이 역력합니다. 

다만 논문 내용과는 전혀 상관없는 PCR 검사 방법을 언급했는데.. 이건 아마 Ion AmpliSeq BRCA1/2의 AmpliSeq 떄문에 그런것 같아 보입니다. 그리고 추가적인 질문으로 벤치마킹한 패널들에 대해서 자세히 설명하라고 했었는데 이때 다른 BRCA HC와 함께 BRCA Tumor을 설명 할때 BRCA Tumor를 BRCA 조직에서 변이를 분석하는 방법이라고 적어놓는 해프닝도 있었습니다. 아직 도메인 지식이 부족하여 생긴 혼선이지 않았을까하네여, 

그래도 이번 프롬프트에서는 다국적 gemini보다는 사용자가 의도한 대로 결과물을 준 것은 클로바 X 같아 보였습니다. 프롬프터의 실력 향상이 더 필요해 보이긴 합니다. 



출처: @ye._.vely618

토요일, 10월 14, 2023

FFPE 처리된 암조직의 NGS 결과를신뢰할 수 있을까?

몇년전에도 NGS 분석 결과를 그냥 불신하는 분들은 당연히 계셨고 지금도 의심의 눈초리로 바라보는 분들이 없지는 않을겁니다. 물론 저도 NGS를 믿으십시요! 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NGS가 모든 문제를 해결 해 주지는 않으니깐요. 그래도 진단에서 NGS는 꽤 나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고 효용성을 증명하고 있는데 일방적인 불신은 좋지 않겠죠.

2015년, 아직 NGS으로 진단하기에는 아직 무리이지 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고, 그런 편견을 벗어나기 위해 부단히도 애를 쓰고 있었던 때인지는 잘 모르겠으나 그래도 아직 시기상조라는 분위기가 지배적이었던 시절 끊임없이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노력했던 연구팀의 논문이 있어 한번 들고 와봤습니다.

그냥 일반 조직에서 시퀀싱한 결과도 믿을 수 없다고 하던 시절, FFPE처리된 샘플에서 BRCA1/2의 somatic 변이 검출을 신뢰 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논문 되겠습니다.

"A reliable method for the detection of BRCA1 and BRCA2 mutations in fixed tumour tissue utilising multiplex PCR-based targeted next generation sequencing" 이라는 제목의 논문입니다.

DOI: 10.1186/s12907-015-0004-6


FFPE, 병리검사를 위해 띠어낸 조직을 장기 보관하기 위해서 처리하는 방법인데, 여기에 사용되는 praffin과 formaldehyde가 DNA 한테는 쥐약이죠..

그래서 FFPE 전용 DNA추출 키트도 나오고 있는데 이미 fragment되어 있고, damage받은 DNA 뽑아서 NGS 돌려봤자 그거 믿을 수 있겠냐? 라는게 FFPE 샘플을 가지고 NGS 수행후 분석 결과를 잘 못믿겠다고 하니 그래서 그거 우리가 확인 했어. 되겠습니다.

그래서 일단 제일 접근하기 쉬운 BRCA1/2를 타겟으로 하였고, 어차피 FFPE 샘플이니 서열들이 조각들 나 있을 테니 증폭시켜서 우선 DNA양을 늘리고 NGS해서 분석 해보자가 가장 좋은 선택지 아니었나 싶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변이 샘플 확보하고 NGS 키트 중에 여러 키트 (GeneRead V1, V2의 BRCA1/2와 Ion AmpliSeq BRCA1/2)로 상호 비교 실험도 했고, Sanger 실험으로 확인도 하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결과적으로 FFPE 샘플에서 추출한 DNA로 NGS 분석으로 돌연벼이를 확인 할 수 있었고, 일부 rare한 frequency를 가지고 있는 변이의 경우 Sanger로는 찾기 힘들었으나 NGS로는 찾을 수 있었다.

그러나 그래도 아직 germline을 분석(이 연구에서는 somatic BRCA1/2 변이를 탐지 했습니다.)을 대체하는 용도로는 안되고, 환자에게 득이 될 수 있는 PARP 억제요법을 사용할지 여부를 확인하는 용도로는 사용할 수 있을 것 같다라고 마무리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그전까지는 카더라로마 떠돌었떤 근거없는 소문을 여러 다양한 케이스와 방법을 통해 벤치마킹을 하여 충분히 사용할 수 있는데? 라는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좋은 기술을 적재적소에서 사용 할 수 있게 해주는 것도 굉장히 중요한 일 인듯 합니다.

그럼 15년도에 FFPE로 somatic 변이를 NGS로 수행해서 변이를 찾을 수 있지만 제한적이라고 했는데, 지금은 기술이 더 발달 했는데, 그 제한적인 사용처가 극복이 되었는지? 아니면 그대로 별 차이가 없는지를 조만간 확인해보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네요.

그럴 수 있기를 제발~  :)


출처: @ye._.vely6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