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요일, 9월 08, 2024

11가지의 시퀀싱기반 공간전사체 분석 방법, 근데 무슨말인지 모르겠다

요즘 핫한 공간 전사체!!!의 모든걸 파헤쳐드리겠습니다!!! 라고 혜성같이 나타난 논문이 있습니다. Systematic comparison of sequencing-based spatial transcriptomic methods 물론 이거는 당췌 무슨 말인지 잘 몰라서 일단 LLM들에게 물어보았습니다. 여기서 얘기하는 sequencing은 NGS겠죠?

DOI: 10.1038/s41592-024-02325-3


chatGPT

이 문서 "시퀀싱 기반 공간 전사체 분석 방법의 체계적 비교"는 11가지 시퀀싱 기반 공간 전사체 분석(sST) 방법에 대한 종합적인 벤치마킹 연구를 다루고 있습니다. 이 연구는 공간 해상도, 캡처 효율성, 분자 확산 및 클러스터링, 영역 주석 및 세포 간 통신과 같은 다운스트림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성능을 비교합니다.

문서 개요

이 문서에서는 조직 내 공간 정보를 보존하면서 포괄적인 전사체 프로파일링을 제공하는 공간 전사체학의 필요성을 설명합니다. 연구는 잘 정의된 조직 구조를 가진 참조 조직(생쥐 배아 눈, 해마 영역 및 후각구)을 사용하여 11가지 sST 방법을 벤치마킹합니다.

주요 sST 방법 소개

이 연구는 서로 다른 공간 인덱싱 전략에 따라 분류된 11가지 sST 방법을 체계적으로 평가합니다. 아래는 각 방법에 대한 요약입니다:

Visium (10X Genomics)

유형: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PolyA 기반 및 프로브 기반)

해상도: 100 μm

주요 특징: 널리 사용되는 상업적 플랫폼으로, 전반적으로 성능이 우수하지만 PolyA 기반 버전에서 유전자 캡처 편향이 있음. 프로브 기반 버전은 특정 상황에서 더 나은 캡처 효율을 보임.

DynaSpatial

유형: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해상도: 100 μm

주요 특징: 해상도 면에서 Visium과 유사하지만, 생쥐 해마와 같은 일부 조직 유형에서 더 높은 민감도를 보임.

Slide-seq V2 (Curio Bio)

유형: 비드 기반

해상도: 10 μm

주요 특징: 높은 민감도와 확산을 잘 제어하여 세부적인 공간 해상도에 적합함.

Stereo-seq

유형: 폴로니 또는 나노볼 기반

해상도: 10 μm

주요 특징: 특히 큰 조직 영역에서 가장 높은 캡처 효율을 보여주지만, 분자 확산 문제에 직면함.

PIXEL-seq

유형: 폴로니 또는 나노볼 기반

해상도: 10 μm

주요 특징: Stereo-seq에 비해 측면 확산을 더 잘 제어함.

BMKMANU S1000

유형: 비드 기반

해상도: 10 μm

주요 특징: 높은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확산 문제로 인해 일부 세포 유형을 식별하는 데 어려움을 겪음.

HDST

유형: 비드 기반

해상도: 서브마이크론

주요 특징: 고해상도 공간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일부 애플리케이션에서 민감도가 낮음.

Curio Seeker

유형: 비드 기반 (Slide-seq의 상업화 버전)

해상도: Slide-seq V2와 유사

주요 특징: 실험실에서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된 상업적 버전.

Salus

유형: 폴로니 또는 나노볼 기반

해상도: 실험에 따라 다름

주요 특징: 맞춤형 해상도를 제공하지만, 높은 확산으로 인해 작은 공간 패턴을 포착하는 데 덜 정밀함.

DBiT-seq

유형: 마이크로플루이딕스

해상도: 20 μm

주요 특징: 적당한 확산 제어와 함께 다중 공간 전사체학을 가능하게 하지만, 설정이 복잡함.

Slide-tag

유형: 비드 기반

해상도: 20 μm

주요 특징: 낮은 확산과 높은 민감도를 결합하여 더 나은 세포 유형 해상도를 제공함.

연구 결과 요약

해상도와 민감도: Slide-seq V2, Stereo-seq, Visium(프로브 기반)과 같은 방법들이 특정 조건에서 더 나은 민감도와 해상도를 제공했으나, 조직 유형과 필요한 공간 해상도에 따라 각 방법의 강점과 약점이 달랐음.

분자 확산: 확산 제어는 실제 해상도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였음. 예를 들어, Slide-seq V2와 PIXEL-seq은 Stereo-seq보다 확산을 더 잘 제어함.

다운스트림 애플리케이션: 희귀 세포 상태, 마커 유전자 발현 및 세포 클러스터링을 감지하는 능력이 방법에 따라 다르며, 일부 방법에서는 마커 유전자 감지에 편향이 나타남(예: Visium PolyA 기반).

이 연구는 연구자들이 특정 생물학적 질문에 가장 적합한 sST 방법을 선택하는 데 도움을 주고, 미래의 공간 전사체 기술 개발을 위한 기준을 마련하기 위한 벤치마크 프레임워크를 제공합니다.



NotebookLM

## 서열 기반 공간 전사체 분석 방법 11가지

본문에서는 총 11가지의 서열 기반 공간 전사체 분석 방법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각 방법은 크게 4가지 범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1. 마이크로어레이 기반 기술:**

* **Visium (probe-based & polyA-based, 10x Genomics)**: 

    *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상용 플랫폼** 중 하나입니다. 

    *  **probe-based 방법**은 특정 유전자를 타겟하는 프로브를 사용하여 RNA를 캡처하고, **polyA-based 방법**은 mRNA의 polyA tail을 이용하여 RNA를 캡처합니다. 

    *  본 연구에서는 **Visium(polyA) 플랫폼에서 특정 유전자를 검출하지 못하는 경향**이 발견되어 추가적인 검증이 필요함을 시사했습니다.

* **DynaSpatial**: 

    *  **mRNA 캡처 효율을 향상**시킨 Decoder-seq 기술을 사용합니다. 

    *  본 연구 결과 Visium(probe), Slide-seq V2와 함께 **정규화된 시퀀싱 깊이에서 높은 캡처 효율**을 보였습니다.

**2. 비드 기반 기술:**

* **HDST**:  패턴화된 배열에 바코딩된 비드를 사용하여 공간 정보를 캡처합니다.

* **BMKMANU S1000**:  

    * HDST와 유사하게 바코딩된 비드를 사용하는 기술로, BMKGENE에서 개발되었습니다. 

    * 본 연구에서 **분자 확산이 두드러지는 단점**이 발견되었지만, **높은 캡처 효율**을 보였습니다.

* **Slide-seq V2**: 

    *  **높은 민감도와 낮은 분자 확산**을 보이는 기술입니다. 

    *  본 연구에서 **정규화된 시퀀싱 깊이에서 높은 캡처 효율**을 보였으며, 다양한 세포 아형을 효과적으로 구분했습니다.

* **Curio Seeker (Curio Bioscience)**: Slide-seq 기술을 상용화한 플랫폼입니다.

* **Slide-tag**: 

    *  **진정한 단일 세포 해상도**를 제공하는 기술입니다. 

    *  본 연구에서 다른 기술들에 비해 분자 확산이 적고 세포 유형 분리가 뛰어났습니다.

**3. 폴로니/나노볼 기반 기술:**

* **Stereo-seq**: 

    *  **높은 민감도**를 가진 기술이지만, **조직 유형에 따라 분자 확산이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  본 연구에서 **가장 높은 캡처 효율**을 보였지만, 특히 뇌 조직에서 분자 확산이 두드러지게 나타났습니다.

* **PIXEL-seq**:  폴로니 젤을 사용하여 DNA 증폭과 공간 전사체 분석을 수행합니다.

* **Salus**: 

    *  **높은 캡처 효율**을 보이는 기술 중 하나입니다. 

    *  다만, 본문에서는 Salus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제공되지 않았습니다.

**4. 미세 유체 기반 기술:**

* **DBiT-seq**: 미세 유체 기술을 사용하여 조직 내 유전자 발현을 높은 공간 해상도로 분석합니다.

이 외에도 다양한 sST 플랫폼들이 개발 중이며, 각 플랫폼은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연구 목적에 따라 적합한 플랫폼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본 연구는 각 플랫폼의 성능을 다양한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여 연구자들이 정보에 입각한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돕는 데 의의가 있습니다.


근데 몇번을 읽어봐도 이거봐서는 무슨말인지 모르겠어요 ㅎㅎ

그냥 sST method를 먼저 공부하고 이 논문의 Table 1을 보면 더 좋지 않을까합니다.


이 논문은 다음에 시퀀싱 방법?들을 먼저 공부하고 난다음에 다시 톺아보도록 해보겠습니다.

근데.. 솔까말 sST 한번도 안만져본 놈이 어느세월에 sST 방법을 찾아볼까 걱정이긴 합니다. :)




출처: @ye._.vely618


댓글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