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Zoonoti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Zoonotic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화요일, 8월 06, 2024

이젠 나만 조심해서는 살기 어렵다

 오늘은 인수공통감염과 관련된 내용에 대해서 나온 논문인 A One Health framework for exploring zoonotic interactions demonstrated through a case study 을 가져와봤습니다. 

DOI: 10.1038/s41467-024-49967-7

점점 LLM에서 반환해주는 내용 이외에 대해서는 따로 알아보지 않고 있는... 문제점이 있기는 한데.. 제가 어설프게 읽는 것보다는 역시 LLM이 좋은듯 합니다. 

그래도 혹시나 모르니 나중에 한번 좀 더 허를 찌는 질문들로 LLM을 혼란하게 해서 제대로 읽고 있는 것인지 테스트도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chatGPT

### 인수공통감염병: 우리 주변의 숨겨진 전파자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최근 과학 연구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인수공통감염병(zoonotic disease)**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이 주제는 복잡해 보일 수 있지만, 사실 우리의 일상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그래서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해드릴게요.

#### 인수공통감염병이란 무엇인가요?

먼저 인수공통감염병이라는 용어부터 풀어보죠. '인수공통감염병'은 **인간과 동물 사이에서 자연적으로 전염되는 질병**을 뜻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인간에게 알려진 감염병의 60% 이상이 동물에서 유래한 것이며, 최근 등장한 신종 감염병의 약 75%가 인수공통감염병에 해당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흔히 아는 **광견병, 조류 인플루엔자, 에볼라 바이러스** 등이 인수공통감염병입니다. 동물과 인간 사이의 접촉을 통해 이러한 질병이 전파되며, 가끔은 환경을 통해 전파되기도 합니다.

#### 연구의 배경: 왜 오스트리아일까요?

이번 연구에서는 오스트리아라는 나라를 대상으로 인수공통감염병이 어떻게 전파되는지를 살펴보았습니다. 왜 하필 오스트리아일까요? 오스트리아는 다양한 동물과 인간이 상호작용하는 환경을 가지고 있어서 연구하기 좋은 장소였습니다. 가축, 야생동물, 반려동물 등이 많기 때문에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 경로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죠.

#### 연구 방법: 어떻게 연구했나요?

연구진은 **One Health 프레임워크**라는 방법을 사용했습니다. One Health는 인간, 동물, 환경의 건강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개념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1975년부터 2022년까지 오스트리아에서 발생한 인수공통감염병과 관련된 2,186개의 문헌을 분석했습니다. 

연구진은 이 데이터를 바탕으로 **네트워크 분석**을 수행했습니다. 이 분석은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 경로를 시각적으로 보여주고, 병원체(질병을 일으키는 미생물), 숙주(병원체가 기생하는 동물이나 인간), 매개체(병원체를 전파하는 곤충 등) 및 환경원 간의 상호작용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주요 발견: 연구 결과는 무엇인가요?

연구를 통해 몇 가지 중요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1.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의 급증**:

   - 1975년부터 1997년까지와 1998년부터 2022년까지 오스트리아에서의 인수공통감염병 연구는 약 17.8배 증가했습니다. 이는 국제적으로도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새로운 병원체가 발생할 때마다 이를 이해하고 대응하려는 과학자들의 노력이 강화되었기 때문이죠.

2. **주요 전파 경로**:

   - 사람, 소, 닭, 특정 육류 제품이 인수공통감염병의 중요한 전파 경로로 밝혀졌습니다. 특히 **사람과 소** 사이의 상호작용, 그리고 **사람과 식품** 간의 전파가 가장 큰 위협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우리가 매일 접하는 고기와 같은 식품이 질병 전파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인수공통감염병의 구조적 이해**:

   - 연구진은 네트워크 분석을 통해 인간, 동물, 환경 간의 삼각형 관계(One Health 3-cliques)를 파악했습니다. 이를 통해 어떤 경로로 병원체가 전파될 가능성이 높은지를 알 수 있었습니다. 예를 들어, 인간 활동이 병원체 전파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농업이나 식품 산업에서의 안전 관리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이해할 수 있습니다.

4. **신종 감염병 발생 빈도**:

   - 오스트리아에서 신종 인수공통감염병은 평균적으로 매 6년마다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새로운 병원체가 정기적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이에 대비한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연구가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합니다.

#### 연구의 의미: 우리가 배워야 할 것

이 연구는 우리가 인수공통감염병을 어떻게 이해하고 대응해야 하는지에 대한 중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지역 사회에 맞는 맞춤형 보건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1. **One Health 접근법**:

   - 인간, 동물, 환경을 통합적으로 고려하는 접근 방식은 질병 전파를 막기 위한 효과적인 전략이 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농장에서의 위생 관리, 반려동물의 건강 관리, 자연 서식지 보존 등이 포함될 수 있습니다.

2. **정책적 함의**:

   - 인수공통감염병의 전파를 막기 위해서는 종합적인 보건 정책이 필요합니다. 정부와 보건 기관은 인간과 동물의 건강을 함께 고려한 법률과 규제를 마련해야 합니다.

#### 결론: 우리가 할 수 있는 것

우리는 모두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작은 노력이라도 할 수 있습니다. 손을 자주 씻고, 고기를 완전히 익혀 먹고, 반려동물을 정기적으로 건강 검진을 받게 하는 등의 작은 실천이 큰 차이를 만들 수 있습니다. 

우리 주변의 환경을 잘 이해하고, 동물과의 상호작용을 조심스럽게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노력이 쌓이면 인수공통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우리와 우리 가족, 그리고 공동체를 보호할 수 있습니다.

여러분도 이번 기회에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해 좀 더 알아보고, 주변 사람들과 공유해보세요! 함께 건강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

이 블로그 글은 연구 내용을 쉽게 설명하려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습니다.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신다면 관련 논문이나 공식 자료를 참고하시길 권장합니다.



NotebookLM

## 우리 주변의 위협, 인수공통 감염병: 1975년부터 현재까지 오스트리아 연구 동향 살펴보기

인수공통 감염병, 이름은 생소하지만 사실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질병입니다. 동물과 사람 사이에 전파되는 질병을 뜻하는데, 대표적으로 코로나19, 조류독감 등이 있습니다. 최근 들어 인수공통 감염병은 세계적으로 증가하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각국의 연구도 활발해지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1975년부터 2022년까지 오스트리아에서 진행된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의 주요 경향을 살펴보고, 그 배경과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1. 증가하는 연구량, 그 중심에 선 박테리아**:

먼저 눈에 띄는 것은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량의 증가**입니다. 1975년부터 2022년까지 무려 **17.8배**나 증가했는데, 이는 전 세계적인 추세와도 일치합니다. 특히 오스트리아에서는 동물과 사람의 접점에서 발생하는 인수공통 감염병에 대한 연구가 크게 증가했습니다. 

연구 주제별로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진핵생물 관련 연구**가 모두 증가 추세를 보였지만, 그중에서도 **박테리아** 관련 연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었습니다.  이는 살모넬라, 대장균, 리스테리아와 같이 식품을 매개로 사람에게 감염되는 박테리아가 인수공통 감염병의 주요 원인으로 꼽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오스트리아 연구에서도 이러한 박테리아들이 자주 검출되었으며, 특히 식품 가공 환경에서의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강조되었습니다.

**2.  환경,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초기 연구는 주로 동물과 인간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하지만 1997년을 기점으로 **환경**을 매개로 한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가 증가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는 기후 변화와 세계화로 인해 오스트리아에 새로운 절지동물 종이 유입될 가능성이 커지면서, **매개체**를 통한 인수공통 감염병의 위험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오스트리아 연구 데이터 분석 결과, 인수공통 감염병을 공유하는 생물 군집 내에서 특정 동물 종, 특히 **야생 동물**과 **가축**이 다른 동물 종이나 사람에게 병원체를 전파하는 **다리 역할**을 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습니다. 

**3.  연구 경향 변화, 그 이면을 살펴보다**:

이처럼 오스트리아의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 경향이 변화한 데에는 몇 가지 배경이 있습니다.

* **첫째, 인수공통 감염병의 지속적인 증가와 그에 따른 전 세계적인 연구 필요성 증대**: 특히 식품 매개 질병 발생이나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와 같이 공중 보건을 위협하는 질병이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습니다.

* **둘째, 연구 자금 지원의 변화**: 인간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거나, 사회경제적으로 큰 피해를 야기하는 인수공통 감염병에 대한 연구가 자금 지원을 받기 유리해졌습니다.

* **셋째, 식품 안전에 대한 관심 증가**:  이는 살모넬라, 리스테리아, 대장균과 같은 식품 매개 인수공통 감염병이 공중 보건에 큰 위험 요소이기 때문입니다.

**4.  앞으로 나아가야 할 길**:

오스트리아의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는 과거에 비해 양적, 질적으로 크게 성장했지만, 여전히 몇 가지 과제가 남아 있습니다. 

* **첫째, 연구 주제의 불균형**: 특정 인수공통 감염원이나 질병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면서, 다른 중요한 질병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소외될 수 있습니다. 

* **둘째, 환경적 측면에 대한 연구 부족**: 인수공통 감염병 발생에 환경이 미치는 영향은 매우 크지만, 아직 관련 연구는 부족한 실정입니다.

* **셋째, 데이터 수집 및 분석의 한계**: 연구 결과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양질의 데이터를 충분히 확보하고, 정교한 분석 방법을 적용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인수공통 감염병 연구는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필수적인 노력입니다. 앞으로 더욱 활발하고 다각적인 연구를 통해 인수공통 감염병의 위협으로부터 안전한 세상을 만들어나가야 할 것입니다. 



오늘 논문은 파일 사이즈가 컸던지, 아니면 페이지수가 좀 많았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chatGPT와 NotebookLM의 결과만 가져와봤고, 역시나 우리가 흔하게 섭취하는 닭, 소, 돼지 나 반려동물과의 상호작용이 중요해진듯 합니다. 더구나 최근에 미국에서 사람이 소한테, 감염된 소가 다시 사람한테 옮기는 경로가 확인되어서 인수공통감염에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되어야 하지 않나 싶네요 :)


출처: @ye._.vely618


토요일, 6월 22, 2024

인수공통 전염병에 대해서

오늘은 인수공통감염관련하여 검색되는 논문을 한번 가져와 봤습니다.

이름하여 Zoonotic Diseases: Etiology, Impact, and Control 입니다.

DOI: 10.3390/microorganisms8091405


오늘 gemini는 문서를 찾을 수 없다고만 해서 clova-x와 chatGPT한테문 글을 작성해달라고 하였습니다.


clova-x

주노시스는 동물에서 사람으로 전염되는 질병으로, 인간 건강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동물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주노시스는 13가지 종류가 있으며, 가난한 가축 노동자에게 가장 큰 영향을 미칩니다. 

주노시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이 있습니다.

1. 동물과의 접촉을 최소화합니다.

2. 동물을 다룰 때는 위생적인 환경에서 다루어야 합니다.

3. 동물의 건강 상태를 주기적으로 확인하고, 질병이 발생한 경우에는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4. 동물의 배설물이나 오염된 물 등을 만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5. 개인 위생을 철저히 관리해야 합니다.

주노시스는 동물과 사람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는 질병이기 때문에, 예방과 치료에 대한 노력이 필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부와 민간 단체의 협력이 필요하며,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이 필요합니다.



chatGPT

### 인수공통감염병: 인간과 동물 건강의 연결고리

인간과 동물은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인수공통감염병은 인간과 동물 간의 건강을 연결하는 중요한 고리입니다.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척추동물과 인간 사이에서 자연스럽게 전염될 수 있는 질병이나 감염을 말합니다. 최근 COVID-19와 같은 신종 질병의 출현은 이러한 감염병 연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켜주고 있습니다. 이번 블로그 글에서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중요성과 이를 관리하기 위한 접근법을 살펴보겠습니다.

#### 인수공통감염병이란?

인수공통감염병은 박테리아, 바이러스, 곰팡이, 원생동물, 기생충 등 다양한 병원체에 의해 발생합니다. 이들은 인간 병원체의 60% 이상을 차지하며, 기후 변화, 도시화, 동물 이동 및 무역, 여행 및 관광 등의 요인에 의해 그 발생 빈도와 패턴이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 인수공통감염병의 중요성

인수공통감염병은 전 세계적으로 큰 공중 보건 문제를 일으키며, 특히 저소득 및 중소득 국가에서 심각한 영향을 미칩니다. 연간 수백만 건의 질병과 수백만 건의 사망을 초래하며, 동물 건강에도 큰 영향을 미쳐 가축 생산성을 감소시킵니다.

#### 기후 변화와 인수공통감염병

기후 변화는 인수공통감염병의 발생과 분포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기온 상승, 강수량 변화 등은 질병을 전파하는 벡터 생물, 예를 들어 모기의 활동을 증가시키며, 이는 질병 전파를 촉진시킵니다.

#### One Health 접근법

인수공통감염병의 효과적인 예방과 통제를 위해서는 인간, 동물, 환경의 건강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One Health 접근법이 필요합니다. 이는 다양한 요인들이 서로 얽혀있는 인수공통감염병의 예방과 통제를 위해 필수적인 접근법입니다.

#### COVID-19와 인수공통감염병

최근 COVID-19의 발생은 인수공통감염병 연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박쥐 기원으로 추정되는 이 바이러스는 전 세계적으로 막대한 영향을 미쳤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예방 전략이 중요한 과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 결론

인수공통감염병은 인간과 동물, 그리고 환경의 상호작용 속에서 발생하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이러한 감염병을 효과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병원체의 특성, 기후 변화의 영향, One Health 접근법의 중요성 등을 종합적으로 이해하고 대응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번 리뷰를 통해 인수공통감염병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효과적인 예방 및 통제 방안을 마련하는 데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인수공통감염병에 대한 더 깊은 이해와 지속적인 연구는 우리 모두의 건강을 지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입니다. 앞으로도 이러한 감염병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계속되기를 바랍니다.


아.. 근데 mdpi네요.. 바로 그 저널 되겠습니다.
여튼 인수공통전염병 관련하여 모니터링 시스템이 잘 되어 있어야 Next COVID-19와 같은일이 안일어 날텐데... 모니터링이나 감시 시스템을 구축해놔도 이것을 무력화 시켜서 문제를 일으키는게 사람이다 보니... 사람이 문제긴 합니다.


다음번에 인수공통감염병 관련하여 mdpi에 게제된거 말고 다른것을 가지고 오도록 하겠습니다. 

경기도 남부만 가도 비가 장마빗처럼 쏟아지던데 비 피해들 없으시기 바랍니다. :)


출처: @ye._.vely618